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근대의 ‘박물’ 개념 형성과 박물학 교과서

이용수 66

영문명
The formation process of ‘BAKMULHAK(natural science)’ as a conceptual word and the modern textbook on natural sciences in Korea
발행기관
우리말학회
저자명
허재영(Heo Jae-Young)
간행물 정보
『우리말연구』제66권, 77~106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7.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근대 이후의 박물 개념 형성과 교과 및 학문명으로서의 박물학이 갖는 특징을 규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출발하였다. 본래 ‘박물’은 ‘박물군자’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사물과 관련된 백과사전식 종합 지식을 의미하는 일상어로 쓰였던 말이다. 이 용어가 교과명이나 학술어로 쓰인 시점을 고증하기는 어려우나, 중국과 일본의 경우 19세기 중엽 이후 전통적인 명물도수학이나 본초학 대신 ‘박물’ 또는 ‘박물학’이라는 용어가 널리 번지기 시작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개념 정립의 역사를 고려할 때, 근대 중국과 일본에서 사용된 ‘박물’ 또는 ‘박물학’은 서양의 ‘자연과학(natural science)’ 또는 ‘자연사(natural history)’에 해당하는 용어로 규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용어가 지시하는 범위가 항상 동일한 것은 아니다. 중국의 경우 19세기 중반에 이르러 ‘박물’이라는 용어가 널리 번지면서, 자연현상뿐만 아니라 천문, 지구 등을 포함한 개념으로 인식한 데 비해, 일본에서는 ‘동식물, 지질과 광물’ 등 자연현상을 지칭하는 개념으로 쓰인 경우가 많았다. 이 용어는 한국에서도 188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쓰이기 시작했는데, 근대식 학제 도입 이후에는 학문 분야의 명칭보다 교과 명칭으로 사용된 경우가 많았다. 특히 중등 이상의 교과에서 ‘박물’은 ‘동식물과 인간생활, 자연현상에 대한 상세한 고찰, 일상생활과 생업에 필요한 지식을 교수하는 교과’로 규정되었으며, ‘박물학’은 ‘자연물을 이용하여 인간생활에 제공하는 자료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인식되었다. 이에 따라 박물학의 범위는 ‘동물학, 식물학, 광물학’을 중심으로 ‘인신 생리, 물리, 화학’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tarted with the purpose of establishing the concept of natural history after modern times and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BAKMULHAK(博物學)’ as a subject and academic name. Originally, ‘BAKMUL’ was used as an everyday language to mean encyclopedic comprehensive knowledge related to objects, as can be seen in ‘BAKMUL-GUNJA(博物君子)’. Although it is difficult to verify the time when this term was used as a subject name or academic language, it can be confirmed that in China and Japan, the terms ‘BAKMUL’ or ‘BAKMULHAK’ started to spread widely in place of traditional specialty teaching mathematics or herbal medicine after the mid-19th century. Considering the history of concept establishment, ‘BAKMUL’ or ‘BAKMULHAK’ used in modern China and Japan can be defined as terms corresponding to natural science or natural history in the West. However, the ranges indicated by these terms are not always the same. In the case of China, in the mid-19th century, the term ‘BAKMULWEON spread widely, and it was recognized as a concept including not only natural phenomena but also astronomy and the earth. It was often used as. The term began to be used in earnest in Korea after the 1880s, but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modern school system, it was used more often as a subject name than as a academic term. In particular, in the subjects of secondary school and higher, ‘BAKMUL is defined as ‘a subject that teaches the knowledge necessary for daily life and livelihood, detailed examination of animals and plants, human life, and natural phenomena . It was recognized as a ‘science that studies the data provided accordingly, the scope of natural science was recognized as including ‘human physiology, physics, and chemistry with a focus on ‘zoology, botany, and mineralogy .

목차

1. 서론
2. 박물지식의 수용과 개념어로서의 ‘박물’
3. 한국 근대의 박물 개념과 박물 교과서의 내용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허재영(Heo Jae-Young). (2021).근대의 ‘박물’ 개념 형성과 박물학 교과서. 우리말연구, 66 , 77-106

MLA

허재영(Heo Jae-Young). "근대의 ‘박물’ 개념 형성과 박물학 교과서." 우리말연구, 66.(2021): 77-10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