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음운 지식의 교수학적 변환을 위한 주안점 -어간말 자음의 실현 양상을 중심으로-

이용수 42

영문명
A Study on the Didactic Transposition of Phonological Knowledge -A Focusing on the Realization of Stem-final Consonant-
발행기관
우리말학회
저자명
이승왕(Lee Seung-Wang)
간행물 정보
『우리말연구』제66권, 169~196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7.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국어의 교착적 특성을 잘 드러내는 어간말 자음의 실현 양상을 통해, 음운 지식의 교수학적 변환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서의 주안점을 모색하는 데 있다. 국어는 교착어로 어근이나 어간에 문법적 기능을 지닌 요소가 결합하여 문장 내에서 관계를 설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음성 언어로 소통할 때 다양하게 실현되는 양상을 살펴볼 수 있다. 음운 지식은 국어 교육 전반에서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점에서 교수·학습 상황에 알맞게 이해하고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교수학적 변환은 교육학적 관점에서 학문적 지식을 선정하여 이것을 유의미하게 변환하는 것을 뜻한다. 즉, 교수학적 변환은 학문적 지식과 가르치고 배우는 지식의 관계 설정이라고 할 수 있다. 국어의 교착적 특성을 잘 드러내는 어간말 자음을 통해 학습자별 실현 양상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음운 지식이 학습자에게 실제적 지식이 되기 위해서는 다음의 몇가지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첫째, 지역 방언 화자의 개별성을 고려해야 한다. 둘째, 음운 지식의 수직적 연계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지식의 체계성을 확보함으로써 지식의 전이성을 높일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main points of consideration in the didactic transposition of phonological knowledge, through the realization of the stem-final consonants that reveal the agglutinativ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The Korean language is agglutinative language, which makes a relationship within a sentences by combining to root or stem with grammatical elements. Because the understanding of phonological knowledge affects an important rol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generally, phonological knowledge should be applied to properly use in teaching and learning situations. Didactic transposition refers to selecting academic knowledge in pedagogical perspective and translating this knowledge as meaningful. In other words, didactic transposition is the establishment of a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knowledge and teaching and learning knowledge. This research found that differences in the realization aspects of each learners appear through the stem-final consonant which reveals the agglutinativ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In order for phonological knowledge to become practical knowledge for learners, these followings should be paid attention. First, the individuality of local dialect speakers should be considered. Second, vertical articulation of phonemes should be strengthened. Third, transposition of knowledge should be increased by securing system of phonological knowledge.

목차

1. 머리말
2. 어간말 자음의 실현 양상
3. 음운 지식의 특성과 교수학적 변환
4. 교수학적 변환의 주안점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승왕(Lee Seung-Wang). (2021).음운 지식의 교수학적 변환을 위한 주안점 -어간말 자음의 실현 양상을 중심으로-. 우리말연구, 66 , 169-196

MLA

이승왕(Lee Seung-Wang). "음운 지식의 교수학적 변환을 위한 주안점 -어간말 자음의 실현 양상을 중심으로-." 우리말연구, 66.(2021): 169-19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