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 현장에서 선호되는 학교장 지도성 특성 분류 Q-사정도구 개발 및 적용
이용수 99
- 영문명
- Developing and Applying the Classification of Preferred Principal Leadership Characteristics Q-Assessment Tool in Elementary Schools
- 발행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오희정(Oh, Hui-Jeong)
- 간행물 정보
- 『교육논총』제41권 제2호, 169~18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교장이 다양한 지도성 특성들을 가치체계에 따라 복합적으로 발휘하고 있다는 통합적 인식 하에 초등학교 현장에서 선호되는 학교장 지도성 특성 분류 범주들이 실제 현장에서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학교장 지도성 특성 분류 범주를 측정할 수 있는 사정도구를 개발하고 적용하여 실제 학교 현장에서 각 범주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확인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범주 Ⅱ(142명, 38.6%), 범주 Ⅰ(86명, 23.4%), 범주 Ⅴ(61명, 16.6%), 범주 Ⅳ(41명, 11.1%), 범주 Ⅲ(38명, 10.3%)의 순으로 실제 학교 현장에 분포하고 있었다. 교사의 성별과 직위는 학교장 지도성 특성 분류 범주에 대한 인식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고, 교사의 연령, 교직경력, 소속 학교 규모와 학교장 지도성 특성 분류 범주에 대한 인식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학교장 지도성 특성 분류 범주의 사정도구를 개발하였으며, 실제 현장에서 그 양태를 살피고 분석하여 학교 현장에 학교장 지도성 특성 분류 범주가 존재함을 확인한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erved to examine the classifications of preferred principal leadership characteristics in elementary schools under the unified recognition that principals were exerting various leadership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value system. By developing and applying an assessment tool that measures the classifications of principal leadership characteristics, I examined how these classifications appeared in elementary schools. Results were distributed in the following order: Category Ⅱ (142, 38.6%), Category Ⅰ (86, 23.4%), Category Ⅴ (61, 16.6%), Category Ⅳ (41, 11.1%), and Category Ⅲ (38, 10.3%). Moreover, teacher gender and posi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recognition of the classifications.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eachers age, teaching career, school size, and their recognition. By using the classification assessment tool to examine and analyze patterns in schools, this study confirmed the existence of classifications of principal leadership characters in the academic contex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학교장 지도성 특성 분류 범주 및 특징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스포츠클럽에 참여한 초등학생의 신체인지와 공감력 및 체육수업기대 간의 관계
- 초등학교 현장에서 선호되는 학교장 지도성 특성 분류 Q-사정도구 개발 및 적용
- 교원양성기관 역량진단 지표의 책무성 탐색: 교육대학을 중심으로
- SW융합 기반 노벨엔지니어링(NE)이 읽기동기와 학습몰입에 미치는 효과
- 한국 초등 사회과 교과서에 재현된 동남아:교수요목기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서술내용 분석
- 상담자용 윤리적 실천 자기효능감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학교 상담자 집단을 대상으로
- 초등교사의 배구동호회 참여 경험과 의미
- 차별피해경험이 초등학생의 사회적 약자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동아프리카의 스와힐리 음악 연구
- 또래에 대한 성장신념, 기본심리욕구 지지적인 태도, 자기결정성 동기, 수업참여 및 또래관계 질의 구조적 관계
- 유아역사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2001∼2020년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 중학교 교사의 수업활동 및 교직태도 변화 분석: 경기도지역 교사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의 인문학적 소양이공감능력과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민주시민교육 실천 사례 분석: 정의지향적(Justice-Oriented) 접근을 중심으로
- 국가 교육 재정사업의 타당성 확보를 위한 분석 프레임 개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