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 of Feasibility Analysis Frame of Educational Funding Projects
- 발행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김수진(Kim, Sujin) 도재우(Do, Jaewoo) 강성국(Kang, Seongguk)
- 간행물 정보
- 『교육논총』제41권 제2호, 247~27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교육 사업에 대한 국가의 예산 투자 사례와 규모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가 가져온 교육의 디지털화는 에듀테크를 포함한 다양한 교육 사업의 추진을 촉진하고 있다. 실제 정부는 K-에듀 통합 플랫폼 구축, 콘텐츠 유통 환경 조성 등 공교육 차원의 대규모 교육 재정사업을 기획 및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국가 주도의 교육 사업 성장 속에서 예산의 적합한 활용을 위해 해당 사업에 대한 타당성 분석이 요구된다. 지금까지 국가 예산이 투입되는 대규모 재정사업에 대한 타당성 분석은 건설, 정보화, R&D 분야에서 주로 이뤄졌으며, 교육 사업의 경우 해당 사업이 가지는 공공성으로 타당성 확보에 대한 별도의 노력은 대부분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국가 교육 재정사업의 타당성 분석 필요성을 바탕으로 교육 사업의 타당성 확보에 활용할 수 있는 타당성 분석 프레임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국가 교육 재정사업의 타당성 분석 프레임 개발은 문헌분석, 전문가 자문, 포커스그룹 인터뷰, 전문가 검토의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다. 특히, 국가연구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 전문가 3명과의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해 기존 예비타당성조사 틀의 교육 사업 타당성 분석에 적용 방안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 사업의 특성을 반영한 타당성 분석 프레임(기술적 타당성, 정책적 타당성, 경제적 타당성)을 개발하였고, 개발된 프레임을 사이버 고등학교 설립 방안에 적용한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해당 프레임의 적합성 및 활용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교육 사업에 타당성 분석의 도입을 제안하는 초기연구로서 그 연구적 의의가 있다. 연구가 제시하는 타당성 분석 프레임은 점차 늘어나고 있는 국가 교육 재정사업에 대한 정책적 의사결정에 중요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ortion of the government´s budget invested in educational projects continues to grow. In particular, the digitalization of education due to COVID-19 is facilitating many such projects. The government plans to conduct large-scale financial endeavors, such as establishing a K-Edu integrated platform. Due to the expansion of government-led educational projects,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feasibility of these undertakings to ensure appropriate budget use. Feasibility analyses of large-scale financial projects with national budgets have primarily been limited to the construction, informatization, and R&D sectors. Moreover, the feasibility analyses of educational projects have taken limited approaches. This study serves is to develop a feasibility analysis frame that may be used to ensure the feasibility of educational funding projects. To that end, researchers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expert interviews, focus group interviews, and an expert review. Using a focus group interview with three preliminary feasibility analysis experts, we explored the application of the existing preliminary feasibility analysis framework for educational funding project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a feasibility analysis framework (technical, policy, and economic feasibility) was developed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al project. We present an example of the framework s application to the cyber high school establishment plan, proposing the suitability and usability of the former. The feasibility analysis framework present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meaningfully contribute to policy decisions for future educational projec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스포츠클럽에 참여한 초등학생의 신체인지와 공감력 및 체육수업기대 간의 관계
- 초등학교 현장에서 선호되는 학교장 지도성 특성 분류 Q-사정도구 개발 및 적용
- 교원양성기관 역량진단 지표의 책무성 탐색: 교육대학을 중심으로
- SW융합 기반 노벨엔지니어링(NE)이 읽기동기와 학습몰입에 미치는 효과
- 한국 초등 사회과 교과서에 재현된 동남아:교수요목기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서술내용 분석
- 상담자용 윤리적 실천 자기효능감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학교 상담자 집단을 대상으로
- 초등교사의 배구동호회 참여 경험과 의미
- 차별피해경험이 초등학생의 사회적 약자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동아프리카의 스와힐리 음악 연구
- 또래에 대한 성장신념, 기본심리욕구 지지적인 태도, 자기결정성 동기, 수업참여 및 또래관계 질의 구조적 관계
- 유아역사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2001∼2020년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 중학교 교사의 수업활동 및 교직태도 변화 분석: 경기도지역 교사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의 인문학적 소양이공감능력과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민주시민교육 실천 사례 분석: 정의지향적(Justice-Oriented) 접근을 중심으로
- 국가 교육 재정사업의 타당성 확보를 위한 분석 프레임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