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풍농(豐農)의 원리: <세경본풀이> 서사의 신화적 의미

이용수 145

영문명
The Mythical Idea about Fertility and the Meaning of Segyeong-bonpuri
발행기관
국문학회
저자명
정진희(Jeong, Jin-hee)
간행물 정보
『국문학연구』제28호, 111~144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11.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농경의 풍요를 기원하는 의례에서 구연되는 제주도 서사무가 <세경본풀이>의 서사는 자청비와 문도령, 자청비와 정수남에 대한 이야기가 핵심이다. 이러한 핵심 서사는 일견 본풀이의 의례적 기능과 유리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나, 농경 풍요의 원리와 그것을 위한 전범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례와 밀접하게 조응된다. 먼저, 자청비와 문도령의 애정담은 지상 존재인 자청비가 천상 존재인 문도령과 결연하여 천상의 穀種을 가지고 오는 이야기이다. 이 이야기의 이면에는 풍요의 근원은 천상에 있으며, 천상에서 유래한 곡종은 지상의 풍요를 보장한다는 신화적 관념이 자리하고 있다. 다음으로, 자청비와 정수남 이야기는 정수남으로 대표되는 목축이 농경의 풍요와 어떤 관계에 있는가를 보여준다. 목축은 대지의 점유라는 측면에서 농경과 대립적이어서 농경의 풍요에 방해가 되지만, 역으로 대지가 아닌 천상에서 풍요를 탐색하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자청비는 문도령과의 애정담에서 천상의 풍요를 지상에 가져오는 인물로 그려지며, 겁탈하려는 정수남을 죽였다가 되살려 세경신으로 좌정시키는 이야기에서는 풍요를 방해하는 목축을 농경을 위한 것으로 재배치하는 인물로 기능한다. 요컨대 <세경본풀이>는 천상의 풍요를 지상에 가져왔을 뿐 아니라, 농경의 풍요를 방해하는 지상의 목축을 도리어 농경의 풍요를 위한 것으로 재배치한 인물인 풍요의 신 자청비에 대한 신화이다. <세경본풀이>의 서사와 의례적 기능의 조응은 바로 이 지점에서 찾을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mythical meaning of Segyeong-bonpuri(세경본풀이) which is the shaman-song performed at ritual to pray for fertility in Jeju island.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 the key stories of the Segyeong-bonpuri(세경본풀이) which are about ‘Jacheongbi(자청비)’ and ‘Mundoryeong(문도령)’, and about ‘Jacheongbi’ and ‘Jeongsunam(정수남)’. Though these stories may look isolated from ritual function of Segyeong-bonpuri, they are closely connected with the ritual in terms of showing the mythological principle of fertility and mythical ideal type. Firstly, in the love story of Jacheongbi and Mundoryeong, Jacheongbi from the ground got married with Mundoryeong from the heaven and bring the seed of heaven to the ground. In the other side of this story, there is a mythical idea which is that the root of fertility is in the heaven and the seeds from heaven guarantee of richness on the ground. Nextly, the story of Jacheongbi and Jeongsunam shows the relation between the garzing represented by Jeongsunam and the richness of agriculture. The grazing disturbs the richness of agriculture by capturing cultivated land. However, it becomes chances exploring richness and fertility not on the ground but in the heaven. Jacheongbi is described for the character brings richness in the heaven to the ground in the love story with Mundoryeong. And in the story with Jeongsunam, She functions as the character relocates grazing being good for agriculture from being bad for richness. In short, Segyeong-bonpuri is the myth about the goddess of fertility and richness. She is not only bringing richness in the heaven to the ground but also relocating grazing being bad for agricultural richness to being good for it. The connection between the narrative and the ritual function of Segyeong-bonpuri has found at this point.

목차

1. 문제제기
2. 자청비·문도령 서사의 신화적 의미
3. 자청비·정수남 서사의 신화적 의미
4. 풍농(豐農)의 원리와 자청비의 역할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진희(Jeong, Jin-hee). (2013).풍농(豐農)의 원리: <세경본풀이> 서사의 신화적 의미. 국문학연구, (28), 111-144

MLA

정진희(Jeong, Jin-hee). "풍농(豐農)의 원리: <세경본풀이> 서사의 신화적 의미." 국문학연구, .28(2013): 111-1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