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전소설 음악 관련 장면의 변화와 그 의미

이용수 41

영문명
Change of Music Related Scenes in Classical Novels and Its Meaning
발행기관
국문학회
저자명
이주영(JooYoung Lee)
간행물 정보
『국문학연구』제28호, 201~224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11.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일반적으로 고전소설에서 음악 관련 장면은 장식물이나 삽화로 취급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음악은 비언어적 메시지로서 다양한 의미를 전할 수 있기 때문에 어떤 음악적 요소가 어떤 인물과 결부되어 고전소설에 도입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소설사의 흐름을 이해할 수 있다. 먼저, 음악적 요소의 변화를 살펴보면, ‘詞牌’나 사패의 가사를 통해 등장 인물의 심경이 토로되다가 점차 주인공의 연주 행위가 부각된다. 연주 행위는 연주자가 지닌 특별한 자질과 인품을 보여주는 수단으로 활용되지만, 음악에 비중을 둔 작품에서는 연주자와 청취자 사이에 이루어지는 무언의 소통이 강조된다. 음악과 결부된 등장 인물은 초기 소설사 작품들에서는 초월계에 속하는 인물들이 주류를 이룬다. 그것이 후대에 현실 속 인간으로 바뀌면서 음악은 비범한 인물들의 교류 수단으로 자리매김된다. 이 과정에서 상류층 여성은 점차 배제되고 기녀의 존재가 부상한다. 이런 변화를 통해 작품들은 음악이 도입된 장면이 작품 내에서 일정한 의미를 갖도록 노력하고 있고, 동시에 비언어적 메시지가 독자에게도 전달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그러나, <구운몽> 이후에 창작된 작품들에서는 음악이 소품처럼 활용되는데 그치거나 독자의 이해를 높이는데 유의하지 않음으로써 음악이 갖는 메시지로서의 기능을 충실히 구현하지 못하였다.

영문 초록

Music related scenes in classical novels in general have a tendency to be treated as decoration or illustration. However, because music can transmit various meanings as a non-verbal message, looking into what music elements are related with which persons and how they get introduced into classical novels has a significance in understanding a flow of the history of novels. Firstly, exploring the change of musical elements, the onset of music introduced into classical novels is ‘cípái songs (詞牌)’ or the words of cípáisongs. Characters free vent to their innermost feelings in these songs, and in late works, the focus was on character’s act of performance other than these songs. The act of performance described with responses of audience is utilized as a means to show character’s special disposition and dignity, but the works more focusing on music lay greater emphasis on non-verbal communication between performers and listeners. Characters related with music in early works of the history of novels are the main current of those people who belong to the transcendental world. And as they are substituted for human beings in the reality in the next generation, music is emerged as an exchange means between remarkable features. In this process, beings of Ginyeo(妓女) rise to the surface while women from the high class are excluded gradually. In this change, works endeavor to have a specified meaning within a work of music introduced scenes, and try to find various methods of communicating non-verbal messages with readers as well at the same time. However, because those works written after Kuunmong employ music only as accessories or don’t pay enough attention to increasing reader’s comprehension, they fail to embody functions that music has as a message.

목차

1. 서론
2. 음악 요소의 변화: 가사에서 연주와 唱和로
3. 인물의 변화: 심경 토로에서 知音의 세계로
4. 작품 내·외적 맥락에서 본 음악의 위상 변화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주영(JooYoung Lee). (2013).고전소설 음악 관련 장면의 변화와 그 의미. 국문학연구, (28), 201-224

MLA

이주영(JooYoung Lee). "고전소설 음악 관련 장면의 변화와 그 의미." 국문학연구, .28(2013): 201-2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