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四歌 合成의 관점에서 본 <青山別曲>의 의미

이용수 46

영문명
The Meaning of Cheongsanbyeolgok(靑山別曲) from the Synthetic Point of View: Regarding it’s composed with four different songs
발행기관
국문학회
저자명
임재욱(Yim, Jaewook)
간행물 정보
『국문학연구』제28호, 175~200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11.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전체 8개 연으로 이루어진 <청산별곡>에는 구조적으로 대응되는 연들의 짝이 존재한다. 대응되는 연들을 둘씩 묶으면 8개의 연은 다시 4개의 단락으로 나뉜다. 본고는 이 점에 착안하여 이 작품이 둘씩으로 묶이는 네 편의 서로 다른 노래가 합성되어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짝이 되는 연끼리의 대응양상에 초점을 맞추어 <청산별곡>의 의미를 해석해 보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살펴본 결과, 이 작품의 제1연과 제6연은 공히 이상적 혹은 가상의 공간을 노래하고 있고, 제2연과 제5연은 현실적 비애와 그 근원 노래하고 있으며, 제3연과 제7연은 환시과 환청을 통해 불가능한 상황 혹은 환상의 세계를 노래하고 있고, 제4연과 제8연은 현실적 고독과 그 근원을 노래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구절 및 연의 의미와 관련하여 본고는 다음과 같은 점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제2연에 표현된 ‘시름’은 제1연에 표현된 산 속 생활에서의 고독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제5연에 표현된 ‘세계와 자아의 불일치’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 제3연의 ‘잉무든 장글란 가지고 믈 아래 가던 새’와 제7연의 ‘사미 대예 올아셔 금을 혀거를’은, 그것들이 공히 불가능한 상황을 노래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면, 어구와 표현을 있는 그대로 두고도 자연스럽게 해석할 수 있다. 아울러 제4연의 고독은 제8연에 표현된 남녀관계, 곧 제3자에게 연인을 빼앗긴 상황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Cheongsanbyeolgok(靑山別曲) which is one of the songs of Goryeo(高麗) dynasty is composed of eight stanzas. And the eight stanzas can be divided into four pairs, and two stanzas of every pairs correspond structurally with each other. In this respect, the stanzas and phrases of Cheongsanbyeolgok(靑山別曲) can be interpreted according to the counterpart. The results of interpretation based on this point of view are as follows. The first and sixth stanza represent the ideal or imaginary space, the second and fifth express the grief in the real world and the cause of it, the third and seventh represent the impossible situation or fantasy world, and the fourth and eighth express the loneliness and the cause of it. About the meanings of the phrases and stanzas I could confirm such facts as follows. That is to say, the grief expressed in second stanza originated not from the loneliness arising out of the life in deep mountains but from the disagreement between the world and the self expressed in fifth stanza. And the third and seventh stanza can be interpreted smoothly leaving the words and expressions as it is, if we think that they represent some impossible situations in common. In addition the loneliness in the fourth stanza originated from the relationships between men and women, in other words the situation that the poetic narrator lost her lover to another woman.

목차

1. 서론
2. 四歌 合成의 관점에 따른 <청산별곡>의 해석
3. 작품의 전체적 의미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재욱(Yim, Jaewook). (2013).四歌 合成의 관점에서 본 <青山別曲>의 의미. 국문학연구, (28), 175-200

MLA

임재욱(Yim, Jaewook). "四歌 合成의 관점에서 본 <青山別曲>의 의미." 국문학연구, .28(2013): 175-2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