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 후기 소설의 백화(白話) 수용 양상

이용수 35

영문명
Late-Joseon period novels acceptance aspects of baihua(白話)
발행기관
국문학회
저자명
김수영(Kim, Soo Young)
간행물 정보
『국문학연구』제29호, 151~17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5.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조선 후기 소설의 백화(白話) 수용을 황중윤(黃中允)의 <천군기>(天君紀), 이옥(李鈺)의 <심생전>(沈生傳), 이현기(李玄綺)의 <장수과전>(張守果傳)을 중심으로 고찰함으로써, 백화 수용의 몇 가지 주요 국면과 의미를 탐구하였다. <천군기>는 주로 대사(代詞)와 조사(助詞)를 활용함으로써 부분적으로 백화를 수용하였다. <천군기>의 백화 수용 양상은 작가 황중윤이 중국의 연의소설(演義小說)을 탐독하고 그 제반 형식을 전용(轉用)한 결과로 해석되었다. <심생전>은 주로 두 자(字)로 된 단어를 활용함으로써 부분적으로 백화를 수용하였다. <심생전>의 백화 수용 양상은 한국 전기소설(傳奇小說)의 전통과 그 장르적 규범에 제약된 것으로 해석되었다. 또한 <심생전>에 구사된 백화는 작가 이옥이 추구한 새로운 문체 실험의 일환으로서 해석되었다. <장수과전>은 고문보다 백화가 주가 된다고 할 만큼, 비교적 전면적인 방식으로 백화를 수용하였다. <장수과전>의 백화 수용 양상은 작가 이현기가 야담계소설(野談系小說) 특유의 구어적 기분을 좀더 내기 위하여 백화 문체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결과로 해석되었다. 이상의 고찰을 통해 본고에서는 다음의 몇 가지 사실을 새롭게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조선 후기 소설의 백화 수용은 17세기 전반기에 시작되어 19세기까지 이어졌다. 둘째, 조선 후기 소설의 백화 수용은 연의소설, 전기소설, 야담계소설 장르 모두에서 나타났다. 셋째, 조선 후기 소설에서 백화 수용의 ‘양상’과 ‘수준’은, 작가의 개성과 역량에 의해, 아울러 각 소설 장르의 전통과 규범에 의해 일정한 영향을 받았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d the late-Joseon period novels acceptance aspects of baihua(白話) through Hwang, Jung-yoon s Cheon-gun-gi(天君紀), Yi, Ok s Sim-saeng-jeon(沈生傳), and Yi, Hyeon-gi s Jang-su-gwa-jeon(張守果傳). First, Cheon-gun-gi accepted baihua partially using mainly pronouns and postpositional articles. Cheon-gun-gi’s baihua acceptance pattern was understood as resulting from the author Hwang, Jung-yoon reading the Chinese historical novels(演義小說) and creatively borrowing their various patterns. Sim-saeng-jeon accepted baihua using mainly two-character combined words. Sim-saeng-jeon s baihua acceptance pattern was understood as resulting from a significant limitation due to traditional Korean chuanchi novels(傳奇小說) tradition and its genre norms. Furthermore, baihua, conversed in Sim-saeng-jeon, was understood as part of the author Yi, Ok s life-long pursuit for literary style experiments. In addition, Jang-su-gwa-jeon featured more baihua sentences than wenyan(文言), accepting baihua entirely. Its baihua acceptance pattern was understood as resulting from the author Yi, Hyeon-gi positively using the literary style of baihua novels such as Suhojeon(水滸傳) in order to exude the colloquial mood particular to yadamgye novels(野談系小說). The findings of this study on the late-Joseon period novels acceptance of baihua are outlined as follows. First, late-Joseon novels baihua acceptance continued from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to the 19th century. Second, late-Joseon novels baihua acceptance was confirmed in all genres of historical novels, chuanchi novels, yadamgye novels. Third, late Joseon novels baihua acceptance level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not only by authors capabilities and characters, but also by the tradition and norms of various novel genres.

목차

1. 머리말
2. 연의소설 독서 경험의 전용(轉用): <천군기>(天君紀)
3. 새로운 문체를 위한 실험: <심생전>(沈生傳)
4. 구어(口語)의 기분을 내기 위한 수용: <장수과전>(張守果傳)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수영(Kim, Soo Young). (2014).조선 후기 소설의 백화(白話) 수용 양상. 국문학연구, (29), 151-177

MLA

김수영(Kim, Soo Young). "조선 후기 소설의 백화(白話) 수용 양상." 국문학연구, .29(2014): 151-17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