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연행로의 지리(地理)와 심적(心跡)

이용수 20

영문명
Geography of the Route of Diplomatic Envoy to Beijing and Marks of Mind along the Route: Section from Sanhaegwan(山海關) to Tongju(通州)
발행기관
국문학회
저자명
이승수(Lee, Seung su)
간행물 정보
『국문학연구』제36호, 31~64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1.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연행로 중 산해관(山海關)-통주(通州) 구간의 지리를 재구하고, 이 공간에 무형으로 남은 조선 지식인의 마음 자취를 찾아본 결과이다. 산해관은 장성의 동쪽 관문으로, 명나라 이후 중화와 이민족의 경계이자 둘 사이 문명의 통로였다. 여기서부터 북경까지의 거리는 대략 300km로 사행의 이동에는 9일 정도가 소요되었다. 이 구간은 문명의 중심에 접근하는 흥분과 감격이 고조되고, 새로운 문화의 체험으로 견문의 확장과 지적 성장을 음미하는, 또 인적 물적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진 문명의 통로였다. 옛길은 많은 부분 현재의 G102 경합선(京哈線) 공로(公路)와 일치한다. 전통적으로 이 지역은 수도권에 해당되기 때문에 도회가 번성하고 문물이 발달하였다. 효율성을 위해 전 노정을 산해관-무녕(撫寧)-영평(永平)-풍윤(豊潤)-계주(薊州)-통주(通州) 다섯 개의 소구간으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이를 통해 대부분의 노선을 복원하였고, 몇몇 지점들을 밝혀냈다. 나아가 각 지점 별로 시대와 개인을 초월하여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사신들의 관심사를 조명하여, 이 길이 단순히 구시대의 박제된 유산이 아니라 여전히 생동감 넘치는 역사의 장소임을 부각시키고자 하였다. 현지의 역사지리 관련 연구 성과를 최대한 반영하여, 연행로를 조감하는 종합적이고 입체적인 시각을 갖추고자 했다. 이러한 자세는 향후 연행 연구 전반에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nvestigated the geography of the section from Sanhaegwan to Tongju in the route of diplomatic envoy to Beijing and deliberated the marks of mind of a Joseon intellectual who was nameless in this space. Sanhaegwan was the eastern gate of Jangseong which was the passage of civilization as well as the border between Chinese and other ethnic group since Ming dynasty. It’s about 300km from Sanhaegwan to Beijing and took about 9 days for the diplomatic envoy to move from Sanhaegwan to Beijing. The section was the passage of civilization where human and material exchange was actively executed as excitement and emotion from approach to the center of civilization was heightened and expansion of knowledge and experience and intellectual growth were appreciated through the experience of new culture. The substantial part of ancient road coincides with the public Jingha(京哈) railway G102 at present. The area was the metropolitan area in the past so that the city flourished and civilization was developed. For efficient discussion, the entire section was divided into five parts: Sanhaegwan(山海關)-Munyeong(撫寧)-Yeongpyeong(永平)-Pungyun(豐潤)-Gyeju(薊州)-Tongju(通州). Through the discussion, most parts were restored and several spots were identified. Furthermore, the interests of envoys per spot which were generally observed beyond times and individuals were analyzed to emphasize that the section was not simply the stagnant relics from the ancient times but historic site which was still filled with vitality. This paper tried to keep the extensive and dimensional viewpoint overlooking the entire route of diplomatic enjoy by reflecting the research results related to historic geography in the region as much as possible. The attitude of this paper will be generally required for further study.

목차

Ⅰ. 머리말
Ⅱ. 입관(入關)의 흥분과 임유관(臨楡關) 옛길, 산해관(山海關) - 무녕(撫寧)
Ⅲ. 갈석(碣石) 문필(文筆) 원경과 난하(灤河) 풍정(風情), 무녕(撫寧) - 영평(永平)
Ⅳ. 계문란(季文蘭)의 사연과 고려포(高麗鋪)의 비밀, 영평(撫寧) - 풍윤(豐潤)
Ⅴ. 「호질(虎叱)」의 탄생과 연소왕(燕昭王)의 회억, 풍윤(豐潤) - 계주(薊州)
Ⅵ. 운하(運河)의 장관과 제도(帝都)의 기운, 계주(薊州) - 통주(通州)
Ⅶ.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승수(Lee, Seung su). (2017).연행로의 지리(地理)와 심적(心跡). 국문학연구, (36), 31-64

MLA

이승수(Lee, Seung su). "연행로의 지리(地理)와 심적(心跡)." 국문학연구, .36(2017): 31-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