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친구․우정’을 향한 설화문학적 상상력과 문화의식

이용수 23

영문명
A study on the literary imagination and cultural consciousness for friends·friendships : Taking notice of the discourses of Request and Betrayal
발행기관
국문학회
저자명
이인경(Inkyung Lee)
간행물 정보
『국문학연구』제36호, 255~297쪽, 전체 43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1.30
7,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문헌과 구비(口碑)로 전승되는 설화작품에서 ‘친구․우정’에 대한 문학적 상상력과 문화의식을 살펴보았다. ‘우정’을 주제로 삼은 설화들에서 벌어지는 사건의 개요는 흔히 ‘청탁’과 ‘배신’으로 나타난다. 진정한 친구란 도덕성과 생명을 희생하면서까지 친구의 청탁을 들어주는 사람이라는 문화의식이 지배적이었다. 청탁의 거부는 곧 배신을 의미하므로, 당사자는 청탁의 도덕적 결함을 묵과하고 수용하기 마련이었다. 우정을 내세운 이런 ‘청탁’ 문화는, 빈번하게 공적 질서와의 윤리적 충돌을 일으키고 있었다. 친구의 비리(非理)를 눈감아주고, 그의 불법행위를 돕기도 하며, 자신의 공권력을 사사롭게 집행하기도 한다. 그 행위가 비록 사회적 정의, 공적 질서, 도덕적 규범, 인간의 보편적 윤리를 훼손할지라도 친구를 위한 ‘의리(義理)’라는 명분으로 모든 것이 용인(容認)되고 미화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교우관계에서 가장 경계하는 것은 ‘배신’인데, 이는 우정이 ‘목적’이 아닌 ‘도구’로 기능할 때 나타나는 흔한 결과이다. 설화문학적 상상력은 ‘잠재적 배신자’를 색출하기 위한 효과적인 전략으로 ‘치명적인 청탁’을 고안해냈는데, 이런 ‘친구시험’에는 개별자로서의 상대방의 독립성을 인정하고 존중하는 태도가 결여되어 있다는 심각한 문제가 발견된다. 또한 ‘나의 분신(分身)’이나 유사(類似)가족으로서의 친구 개념은, 우정의 친밀성을 지고(至高)한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동시에, 역설적으로 친구의 타자성(他者性)을 완전히 소거(消去)해버림으로써 상대방을 자신의 욕망대로 제압하고 통제하려는 폭력성을 드러내고 있다. 이처럼 우리의 설화문학적 상상력과 문화의식은 ‘우정’이 가져다주는 무한대의 효용만을 강조할 뿐, ‘의리’라는 명분으로 포장되는 ‘청탁’과 ‘공모’의 폭력성과 범죄성에 대해 비판적으로 성찰하지 않았다. 이제 우정은 인정(人情)과 의리(義理)라는 명분에 합당한 책선(責善)과 보인(輔仁)의 윤리로 거듭나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친구는 사랑과 존중과 배려와 공감의 대상이지, 내 마음대로 제어할 수 있는 나의 부속물(附屬物)이거나 내 필요를 채워주는 원조자가 아님을 인식해야 한다. 친구를 공동의 이익을 위한 수단으로 여기는 것 역시 친구가 아닌 동업자를 바라보는 시선이다. 친구는 내 인격의 성숙을 돕는 스승이고 삶의 동반자이며, 그 자체가 목적인 것이다. 친구의 배신을 경계하기 전에 혹시 자신이 친구를 배신하진 않았는지부터 살피고, 지금 스스로 진정한 친구로서 잘 살고 있는지를 자성(自省)하는 성숙한 태도가 요구된다. 모든 만남은 결국 유유상종(類類相從)이기 때문이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literary imagination and cultural consciousness of “friends and friendship” in Korean Oral Narratives which have been passed on oral tradition and by books. The themes of the events appearing in the folktales of “friendship” are mainly based on “request” and “betrayal.” The dominant cultural consciousness was such that a true friend would do his friend a favor even at the sacrifice of his morality and life. Since rejection of a favor was considered as an act of betrayal, those who were asked for a favor of a friend would do as requested in spite of the moral flaws of the requests. The favors in disguise of friendship had often caused a moral clash with the public order. they had turned blind eyes to the corruption of their friends, helped their illegal activities, and even arrogates their public authorities. It had proved that everything is tolerated and beautified by the name of his loyalty to a friend , even if the action undermines social justice, public order, moral norms, and universal ethics of human beings,The imagination of folktales had devised “Friendship test” as the most effective strategy to distinguish a true friend from a potential traitor. This has a serious problem, however, of that there is no considering and respecting the other s independence and privacy. Also, the perspective of regarding a friend as one s alter ego emphasizes the intimacy of friendship, while reveals the violence to control his friend according to his own desire without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individuality of the counterpart. The imagination of Korean folktales and cultural consciousness only emphasized the infinite utility of “friendship” but did not reflect on the violence and criminality of “request” and “conspiracy” which are occurred by the name of loyalty . A friend should be considered as a subject of love, respect, care and sympathy, not an adjunct to control at my own discretion or an assistant satisfying my needs. A friend is a good teacher who helps me mature my personality. And a friend is a good life partner, a purpose in itself, not a means to gain profits. Not Keeping guard against our friend s betrayal but check the question whether I behave myself sincerely as a true friend. In short, Birds of a feather flock together. In a follow-up study, I will research how to create new friends and become true friends by surveying the folktales that show positive examples of friendship.

목차

Ⅰ. 논의의 출발
Ⅱ. 상부상조(相扶相助)와 공생(共生)의 논리
Ⅲ. 친구를 향한 불안한 시선
Ⅳ. 마무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인경(Inkyung Lee). (2017).‘친구․우정’을 향한 설화문학적 상상력과 문화의식. 국문학연구, (36), 255-297

MLA

이인경(Inkyung Lee). "‘친구․우정’을 향한 설화문학적 상상력과 문화의식." 국문학연구, .36(2017): 255-29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