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구술성 차원에서 본 구비설화의 의미구현 방식

이용수 43

영문명
Implementation Meaning of Folk-tale based on the Orality
발행기관
국문학회
저자명
심우장(Sim,Woojang)
간행물 정보
『국문학연구』제37호, 71~114쪽, 전체 44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5.30
8,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야기판에서 구비설화가 구연되는 상황을 보면 우리가 가지고 있는 상식과 조응되지 않는 경우가 꽤 많다. 바로 이러한 곳에서 구비문학의 존재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고, 구술성에 입각하여 이 문제를 해결해 보려고 했다. 대화의 관점에서 보자면 구비설화는 풍부하고 혼란스런 맥락을 참여자들이 ‘조정’해가는 과정의 산물이다. 따라서 이야기판 참여자들이 설화를 매개로 어떻게 상황을 조정해나가는지, 이를 통해서 어떠한 의미를 발현시켜나가는지를 확인하는 작업은 충분한 의의를 지닌다고 하겠다. 설화 구연이 만들어준 상황을 적극적으로 이용하여 현실적인 주장을 펼치는 경우뿐만 아니라, 주어진 상황에 적절한 설화를 호출하는 경우도 설화 구연을 통한 담론화의 경향은 뚜렷하다. 하지만 이러한 담론화가 설화의 텍스트적인 의미에 종속되지는 않는다. 구연 상황이 텍스트의 다양한 구성요소와 자유롭게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실제로 구현되는 의미는 텍스트의 핵심 내용과 일정한 거리가 있을 수 있다. 구술문화에서의 사고가 원래 그런 것처럼 구비설화도 삶의 맥락 속에서 상황 중심적이고 경험적인 의미를 구성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때문에 설화를 포함한 이야기는 그 자체로 구술문화의 조작적 사고(operational thinking)를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이다. 또한 구비설화는 비슷한 상황을 담지하고 있는 이야기들을 엮어냄으로써 구술문화적 사고를 일반화시키기도 한다. 이렇게 일반화된 담론들은 공적 지혜(communal wisdom)의 성격이 강하다. 추상적 성격을 갖는 공적 지혜를 이야기를 통해서 구체화하고, 이를 대화의 상황과 연결시켜서 구연함으로써 실제적 맥락과 교섭하게 한다. 하지만 이러한 설화의 구연은, 구연자 개인의 입장에서 보면 공적 지혜의 내면화이면서 공적 지혜의 틀 안에서 개성적인 인식을 모색하는 과정이기도 하다. 중요한 것은 이렇게 함으로써 상황의 역학에 의해서 공적 지혜가 텍스트 이상의 의미로 전달된다는 점이다.

영문 초록

There are many cases where we do not agree with the common sense that we have in the situation where folk-tales are narrated in the storytelling-site. I think that in these places, I can find the significance of oral literature. Therefore, I try to solve this problem based on orality. From the point of view of dialogue, folk-tales have a rich and chaotic context. And folk-tales are the products of the process of participants mediation of context. Therefore, the work of confirming how the participants adjust the situation through the folk-tales and implement the meaning through it has enough significance. There are two kinds of storytelling-site’s situations related to discourse. First, it is a case of making a realistic claim by positively using the situation created by the folk-tale narration. Second, it is the case that the appropriate story is called for a given situation. In both cases, there is a tendency to discourse through folk-tales. But this discourse does not depend on the textual meaning of the folk-tale. Since the situation can be freely connected with the various components of the text, the actual meaning may be a certain distance from the core content of the text. Thinking in oral culture is originally situation-oriented and empirical. Likewise, folk-tales are apt to construct contextual and empirical meanings in the context of life. The story including folk-tale is itself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operational thinking of the oral culture. It also generalizes oral cultural thought by tying stories that share similar situations. These generalized discourses are characterized by communal wisdom. Public wisdom with abstract character is formulated through stories. And it is also connected with the situation of the dialogue, so that it can communicate with the actual context. However, from the standpoint of the storyteller individual, folk-tale narration is a process of searching for individual recognition within the framework of public wisdom, both internalization of public wisdom. What is important is that, by doing this, the public wisdom is conveyed in a sense more than text, thanks to the dynamics of the situation.

목차

Ⅰ. 문제제기
Ⅱ. 구술문화적 창조성
Ⅲ. 구비설화의 의미구현 방식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심우장(Sim,Woojang). (2018).구술성 차원에서 본 구비설화의 의미구현 방식. 국문학연구, (37), 71-114

MLA

심우장(Sim,Woojang). "구술성 차원에서 본 구비설화의 의미구현 방식." 국문학연구, .37(2018): 71-11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