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굴봉정촬토(掘峰頂撮土)’ 행위로 본<구지가>의 성격에 대한 재고

이용수 55

영문명
Characteristics of Gujiga in Consideration of Gulbongjeongchwalto
발행기관
국문학회
저자명
박재민(Park, Jae-Min)
간행물 정보
『국문학연구』제38호, 127~144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1.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상대가요의 하나로 잘 알려진 <구지가>의 성격에 대한 재론을 담고 있다. 그간 학계와 교육 현장에서는 <구지가>를 ‘주술요’로도 보고, 동시에 ‘노동요’로도 보고 있었다. 이 노래를 주술요로 본 것은 기원의 말을 담고 있고, 실제로 노래를 부른 이후에 신이한 일이 벌어진 까닭이고, ‘노동요’라고도 보는 이유는 배경설화에서 나온 ‘굴봉정촬토(掘峯頂撮土)’란 구절 때문이었다. 기존의 해석에 따를 때 이 구절은 ‘산꼭대기의 흙을 파다’ 혹은 ‘산꼭대기를 파고 흙을 모으다’로 해석되었다. 흙을 파거나, 흙을 모으는 행위에서 노동의 현장을 상정하였던 것이고 그에 기반하여 <구지가>가 노동요일 가능성을 제기해 왔던 것이다. 그러나 본고는 ‘촬토(撮土)’가 대규모의 흙을 쌓는 행위가 아닌, ‘향로를 대용할, 향로 크기의 한줌 흙더미를 모으는 행위’임을 밝혀 이 동작이 노동이라 부를 만한 것이 아니라 판단하였다. 이를 문증하기 위해, 중국의 여러 문헌에 나타난 “촬토(撮土, 한줌 흙더미를 모음)” + “분향(焚香, 향을 사름)” + “기원”(祈願, 기원의 말을 함)의 관용적 행위를 살폈고, <구지가> 또한 이에 정확히 부합하는 구조로 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굴봉정촬토(掘峯頂撮土)’가 <구지가>의 ‘노동요’적인 성격을 시사하는 행위가 아니라, 오히려 ‘주술요’임을 강화시키는 화소(話素)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reconsiders of the characteristics of Gujiga , a well known ancient song. Gujiga has been regarded as a spell or a labor song. It contains wishes and resulted in a magical phenomenon in fact, so it was considered as a spell. On the other hand, it was associated with labor songs because of the phrase, gulbongjeongchwalto in it. Based on the existing interpretations, scholars interpreted the phrase as to dig in the ground on the top of the mountain or to dig in the top of the mountain and to pile the soil . The act of digging in the ground or piling the soil got associated with work fields, so Gujiga could be regarded as a labor song. However, This paper made clear that chwalto is not to heap the earth in a big scale but to pile a handful of soil as a substitution of an incense burner, having no relationship with something to be called a labor. To prove this, I consulted various Chinese literature and investigated the idiomatic usage of chwalto (to pile a handful of soil), which was associated with bunhyang (to burn incense) and giwon (to pray), which exactly corresponds with the context of Gujiga . Thus I conclude that gulbongjeongchwalto is not an evidence that proves Gujiga is a labor song but a motif associated with a spell.

목차

Ⅰ. 서론
Ⅱ. <구지가>는 노동요인가?
Ⅲ.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재민(Park, Jae-Min). (2018).‘굴봉정촬토(掘峰頂撮土)’ 행위로 본<구지가>의 성격에 대한 재고. 국문학연구, (38), 127-144

MLA

박재민(Park, Jae-Min). "‘굴봉정촬토(掘峰頂撮土)’ 행위로 본<구지가>의 성격에 대한 재고." 국문학연구, .38(2018): 127-1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