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동명왕편(東明王篇)>의 서술 체계와 인물 형상

이용수 130

영문명
A Study on the Description System andCharacter’s Distinct Features of Dongmyeongwangpyeon
발행기관
국문학회
저자명
구본현(Gu, Bon Hyeon)
간행물 정보
『국문학연구』제38호, 175~204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1.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의 목적은 <동명왕편(東明王篇)>의 서문을 통하여 창작 목적을 재검토하고 그 결과를 근거로 삼아 <동명왕편>의 서사 구조와 인물 형상의 특징을 밝히는 데 있다. <동명왕편>의 서문에서 가장 중요한 언급은 동명왕 신화가 “귀(鬼)”와 “환(幻)”이 아니라 “신(神)”과 “성(聖)”임을 깨달았다는 대목이다. 이는 <동명왕편>의 창작 목적이 동명왕 신화의 신성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형상화하는 것이었음을 알려준다. 신성(神聖)은 논리적 인과관계를 이해할 수 없다는 점에서 귀환(鬼幻)과 비슷해 보이지만 ①천명(天命)에 의해 필연적으로 일어날 수밖에 없었던 역사적 사실로서 ②세상의 이로움을 위해 행해졌다는 점에서 귀환(鬼幻)과 구별된다. 이규보는 『구삼국사』의 내용을 축약하여 시화(詩化)하면서도 서장과 종장을 더하고 인물의 성격과 역할에 변화를 주어 동명왕 이야기에 신성의 성격을 효과적으로 부여하였다. <동명왕편>의 서장은 천명(天命)을 받은 삼황오제(三皇五帝)의 고사로 이루어져 있으며 종장에는 고구려와 동시대에 존속했던 한나라의 고조와 광무제 고사가 제시되어 있다. 본장에는 중국 성인(聖人)들의 행적과 유사한 해모수와 주몽의 행적이 구체적으로 형상화되어 있다. 이러한 서술 체계는 중국의 신성한 사례를 인용하거나 연상시킴으로써 동명왕의 행적이 실재한 역사적 사실이며 천명(天命)에서 비롯한 신성한 행위였음을 증명하는 효과를 거둔다. <동명왕편>은 ①해모수가 천명을 받은 존재임을 누차 강조하고 ②그 행적을 주몽만큼이나 자세하게 서술하며 ③유화의 역할을 강조하여 신모(神母)의 성격을 강조하는 한편 ④유리의 행적을 간략히 처리했다는 특징을 보인다. 그 결과 “천명에 의한 해모수의 계사(繼嗣)”와 “유화의 조력을 통한 주몽의 건국(建國)” 서사가 대등하게 연결되는 구조를 갖추게 되어 고구려의 건국과 그를 수성한 결과인 고려의 역사적 정당성과 신성성을 효과적으로 형상화할 수 있게 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creative motivation through the preface of Dongmyeongwangpyeon[The Epic about King Dongmyeong of Goguryeo] and reveal the distinct features of description system and characters. The most important mention in the preface is that the story of King Dongmyeong was not a nonsense but a historical fact that realized the mandate from heaven. This is a clue to the fact that the creative motivation of Dongmyeongwangpyeon is to represent the sanctity of King Dongmyeong more effectively. Divinity, evil spirits and illusions all are events that can not be understood by human knowledge, but divine events are (1)historical facts made by the mandate from heaven, (2)things done under the purpose of the benefit of the whole world. Li Gyubo seems to have created his own description and expression system of Dongmyeongwangpyeon by modifying the contents of Old History of Three Kingdoms in order to effectively grant such sanctity to King Dongmyeong. The preface of Dongmyeongwangpyeon is composed of the story of ancient Chinese Emperors, who received the Heavenly Order. In the last part, the events taken place by two emperors of Han dynasty are mentioned. In the main chapter, the actions of Haemosu and Jumong, which are similar to those of Chinese saints, are specifically embodied in detail. The description system like this is the result of the intention to prove that the act of King Dongmyeong was actual historical fact and sacred act based on the Heavenly Order by citing or associating the sacred case of China recognized as history. In Dongmyeongwangpyeon, (1)Haemosu is described as the recipient of the mandate from heaven, (2)the story of him has as much detail as Jumong’s, (3)Yuhwa is described as sacred mother, and (4)Yuri’s story is introduced to the minimum. As a result, it has the narrative structure that the Haemosu’s actions for inheritance and Jumong s founding a new country through the help of Yuhwa is logically connected, thus creating the effect of justifying the sacredness of the establishment of Goguryeo.

목차

Ⅰ. 서론
Ⅱ. 서문에 나타난 역사 인식의 전환
Ⅲ. 신성(神聖)의 의미와 서술 체계의 특징
Ⅳ. 인물 형상에 나타난 신성(神聖)의 양상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구본현(Gu, Bon Hyeon). (2018).<동명왕편(東明王篇)>의 서술 체계와 인물 형상. 국문학연구, (38), 175-204

MLA

구본현(Gu, Bon Hyeon). "<동명왕편(東明王篇)>의 서술 체계와 인물 형상." 국문학연구, .38(2018): 175-2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