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셋태비감>의 한국전쟁 체험과 여성 피란민의 시선

이용수 31

영문명
Korean War Experience and Female Refugees’ Perspective in Settaebigam
발행기관
국문학회
저자명
이혜경(Lee Hye Gyoung)
간행물 정보
『국문학연구』제41호, 203~225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5.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셋태비감>은 작자미상의 여성이 한국전쟁 당시 피란민의 입장에서 경험한 전란의 상황과 자신에 관한 이야기를 4음보 가사체 양식으로 표현한 필사본 가사 작품이다. 본고는 현장과 밀착된 작자의 삶과 의식을 구체적으로 살펴 한국전쟁을 배경으로 한 가사의 문학적 성격을 고찰하였다. 본고는 작품 소개 이외에 지금까지 논의된 바 없었던 <셋태비감>을 소개하는 차원에서 작품의 내용을 3단락으로 정리하여 작품론으로 들어갔다. 작품의 도입부는 해방 이후부터 한국전쟁의 발발, 가장 치열했던 낙동강 방어전까지 당시 현실세계가 충실히 재현된 객관적 서술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통하여 공식적인 역사서술에 의존한 리얼리티의 복원이 가능했다. 가운데 단락에서는 전쟁 중 부역 행위로 옥살이를 하게 된 화자의 억울한 심정과 비참함의 정서를 확인하고 그가 투옥하는 동안 꿈을 통해 무의식의 세계 속에서나마 자신의 고난을 잊고자 했던 노력의 일환을 살폈다. 그리고 1년의 옥살이 끝에 출소하여 막막한 현실 속에서 미래를 기원하는 화자의 목소리로 작품은 끝을 맺는다. <셋태비감>은 작자의 전쟁 체험에서 비롯된 역사적 사실과 개인의 시련을 극복하기 위한 현실도피를 문학적 상상력으로 형상화한 작품으로, 논픽션과 픽션이 혼종을 이루는 르포문학으로서의 성격을 공유하고 있다. 이로써 본고는 한국전쟁 속에서 창작된 작품의 시대적 특수성과 가사문학의 특성을 모두 고려한 르포가사로서의 <셋태비감>으로 그 문학사적 의의를 살펴보았다.

영문 초록

Settaebigam is a manuscript gasa work expressed in a four-verse lyric style based on a story about Korean War situations that she experienced from the perspective of a refugee along with her own story. This study is intended to research the author’s life and ideas adhered to the field in detail in order to establish a new categorization of gasa by reviewing the literary characteristic of gasa created during Korean War. This study covers the theory of the work by categorize the contents into three paragraphs as the introduction of Settaebigam, which hasn’t been discussed so far other than the introduction of the work. The introduction part of the work arranges the details of Korean War in sequence and reproduces the reality of those days from the time after the liberation to the outbreak of the war and the Great Naktong Offensive. This is how the restoration of reality based on the official historical description was made possible. In the middle part, the author’s unfair emotion and distress due to prison life by treachery during the war are viewed, along with her efforts to forget her adversity in the unconscious world through dream. The work ends with her wish for the future in the desolate reality after being released from 1 year of imprisonment. Settaebigam embodies the historic facts derived from the author’s war experience and the escapism to overcome her own personal adversity through the literary imagination. It shares the characteristic of report literature with non-fiction and fiction mixed. Therefore, this study is intended for new categorization of gasa literature as a report gasa by highlighting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 period in the work created during the situation of Korean War.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셋태비감>을 통해 본 화자의 시각
Ⅲ. 한국전쟁의 특수성과 <셋태비감>의 문학사적 의의
Ⅳ.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혜경(Lee Hye Gyoung). (2020).<셋태비감>의 한국전쟁 체험과 여성 피란민의 시선. 국문학연구, (41), 203-225

MLA

이혜경(Lee Hye Gyoung). "<셋태비감>의 한국전쟁 체험과 여성 피란민의 시선." 국문학연구, .41(2020): 203-22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