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습장애 진단 및 선정 절차의 현황과 과제: 특수교육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이용수 2258

영문명
The Status of the Identification Process of Learning Disabilities: Focusing on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발행기관
한국학습장애학회
저자명
신재현(Jaehyun Shin) 정평강(Pyung-Gang Jung)
간행물 정보
『학습장애연구』제18권 제1호, 1~25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4.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국내 학습장애 출현율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고, 학습장애 학생들은 제도권 안에 속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체계적인 진단이 이루어지지 않아 지원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습장애 진단 및 선정의 핵심적인 역할을 감당하고 있는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진단평가 담당자를 대상으로 현행 학습장애 진단기준 및 절차의 현황, 인식, 어려움 및 개선요구를 살펴보았다. 전국 특수교육지원센터에 온라인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총 25곳으로부터 응답을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로 현황과 관련하여 현행 진단기준 및 절차를 사용하지 않는 곳이 24%에 이르러 현행 기준에 대한 홍보 및 교육의 필요성이 있었으며, 학습장애 진단 시 경계선 지능을 포함한 지적장애나 정서․행동장애와의 변별이 어려워 학습장애의 특성을 반영한 조작적 정의의 보완 및 진단기준에 반영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둘째로 인식에 있어서는 현행 기준으로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다는 응답이 74%에 이르렀으나 여전히 학습부진과의 변별이 어렵다고 하였으며, 진단기준의 명확성에 대해서는 불명확하다는 응답이 절반 이상으로 진단기준의 명확성을 요구하고 있었다. 셋째로 지원 요구에 있어서는 다른 장애와 구별할 수 있는 학습장애만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는 절차와 기준, 배제요인의 범위와 기준 명확화, 의뢰하는 담임교사의 전문성 향상 및 협력 등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학습장애 진단기준 및 절차의 향상을 위한 방향과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pecific procedures, identification specialists’ awareness, and improvement demand regarding the current identification process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LD), focusing on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SESC) in Korea. A questionnaire was created based on the current identification process via Google form and distributed to the SESC located nationwide. A total of 26 answers was collected. Major findings include that 24% of the SESC do not use the current identification guidelines, and it is difficult to differentiate LD from intellectual disabilities,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emotional/behavioral disorder, or general learning difficulties. Related to this point, the specialists of the SESC asked for more specific guidelines and procedures to identify unique characteristics of LD to discern from other disabilities or difficulties. They also required to clarify guidelines for evaluating exclusionary factors and to strengthen professional development on the use of testing tools and overall identification process for the SESC specialists as well as general classroom teachers.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재현(Jaehyun Shin),정평강(Pyung-Gang Jung). (2021).학습장애 진단 및 선정 절차의 현황과 과제: 특수교육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학습장애연구, 18 (1), 1-25

MLA

신재현(Jaehyun Shin),정평강(Pyung-Gang Jung). "학습장애 진단 및 선정 절차의 현황과 과제: 특수교육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학습장애연구, 18.1(2021): 1-2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