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읽기 학습장애 학생을 위한 어절 선택 검사의 측정학적 적합성 연구: 공인 타당도와 구인 타당도에 초점을 맞추어

이용수 310

영문명
An Examination of the Technical Adequacy of Maze in Korean for Students with Reading Difficulties: Focusing on the Concurrent Validity and Construct Validity
발행기관
한국학습장애학회
저자명
여승수(Seungsoo Yeo)
간행물 정보
『학습장애연구』제18권 제1호, 27~44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4.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로 개발한 어절 선택 검사의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어절 선택 검사는 소리내어 읽기 유형과 함께 읽기 교과에서 활용 가능한 대표적인 CBM 검사이지만 국내에서는 현재까지 공인 타당도와 구인 타당도에 관한 충분한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특별히 표준화 읽기 검사 도구인 KOLRA 검사를 사용하여 어절 선택 검사의 공인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어절 선택 검사 점수는 KOLRA 하위 검사 점수와 유의한 상관계수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읽기 이해와 문단글 유창성 하위검사와 높은 상관계수를 나타냈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구인 타당도를 검증한 결과에 따르면, 읽기 이해와 문단글 유창성 검사만 포함한 가설 모형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에서 도출한 교육적 함의를 제공하였다.

영문 초록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ncurrent validity and construct validity of Maze in Korean. Although CBM-Maze is one of most useful measures in reading, in addition to CBM-reading aloud, little research has focused on evaluating its validity. This study used a standardized reading comprehensive test for testing the validity of Maze in Korea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howed that Maze scores in Korean were moderately correlated with subtest scores of KOLRA. In particular, there were high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The results fro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upported that the hypothesized model, in which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was only included, were the best-fitting model for Maze in Korean.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education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여승수(Seungsoo Yeo). (2021).읽기 학습장애 학생을 위한 어절 선택 검사의 측정학적 적합성 연구: 공인 타당도와 구인 타당도에 초점을 맞추어. 학습장애연구, 18 (1), 27-44

MLA

여승수(Seungsoo Yeo). "읽기 학습장애 학생을 위한 어절 선택 검사의 측정학적 적합성 연구: 공인 타당도와 구인 타당도에 초점을 맞추어." 학습장애연구, 18.1(2021): 27-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