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특수교사의 장애학생 교육을 위한 증강·가상현실 활용실태, 인식 및 TPACK 수준 조사

이용수 611

영문명
Investigation of Special Educators’ Usage, Perceptions, and TPACK Regarding the Use of Augmented and Virtual Reality for Teach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발행기관
한국학습장애학회
저자명
옥민욱(Min-Wook Ok) 김우리(Woori Kim)
간행물 정보
『학습장애연구』제18권 제1호, 67~97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4.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특수교사들의 장애학생 교육을 위한 증강·가상현실 활용실태, 인식 및 TPACK 수준을 조사하고, 교사 배경변인이 이들의 TPACK 수준에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전국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에 재직하고 있는 특수교사 총 18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다중반응 빈도분석, 독립표본 t 검정, Kruskal-Wallis 검정을 사용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절반 이상의 특수교사들은 장애학생 교육에 증강·가상 현실을 사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용한다고 해도 그 빈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교사의 지식 및 활용역량 부족이 증강·가상 현실 활용의 가장 큰 장애물이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지원요구로는 장애학생 특성과 교육과정에 맞는 콘텐츠 개발 및 지원을 가장 많이 언급하였다. 또한 전반적으로 특수교사들의 장애학생 교육을 위한 증강·가상현실 활용 관련 TPACK 수준은 낮았다. 특수교사의 배경변인 중 성별, 기관유형, 테크놀로지 활용 연수시간 및 테크놀로지 활용 수준에 따라 이들의 TPACK 수준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특수교사의 효과적인 증강·가상 현실 활용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고, 후속연구에 대한 방향성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special educators’ usage, perceptions, and TPACK regarding the use of augmented and virtual reality (AR․VR) for teach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whether teacher background variables affect their TPACK level. For thi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183 special educators working both in special schools and self-contained classrooms nationwid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multiple response analysis, independent t-tests, and Kruskal-Wallis-tests. The results revealed that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did not use AR․VR to teach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 frequency of using it was also low. Respondents reported that lack of teacher knowledge and ability is the biggest obstacle to using AR․VR and the development and provision of AR․VR content suitable for the curriculum and the need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s the support they need the most. In addition, their level of TAPCK regarding the use of AR․VR for teach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generally low. The TPACK level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gender, the type of institution, technology training hours, and the technology usage level among the special educator background variables.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providing support plans for special educators effective use of AR․VR and suggeste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on this topic.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옥민욱(Min-Wook Ok),김우리(Woori Kim). (2021).특수교사의 장애학생 교육을 위한 증강·가상현실 활용실태, 인식 및 TPACK 수준 조사. 학습장애연구, 18 (1), 67-97

MLA

옥민욱(Min-Wook Ok),김우리(Woori Kim). "특수교사의 장애학생 교육을 위한 증강·가상현실 활용실태, 인식 및 TPACK 수준 조사." 학습장애연구, 18.1(2021): 67-9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