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단위학교별 교육사각지대 학습자 잠재집단 분류 및 특성 분석

이용수 91

영문명
Classifying Latent Classes and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at-Risk Learners in Blind Spot of Education across School Levels
발행기관
한국학습장애학회
저자명
조아영(Ahyoung Cho) 유인화(Inwha Yoo) 이유라(Youla Lee) 황재호(Jaeho Hwang) 최수미(Sumi Choi)
간행물 정보
『학습장애연구』제18권 제1호, 155~178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4.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학교급별 교육사각지대 학습자 잠재집단의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교육사각지대 학습자의 학교적응 향상을 지원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초․중․고등학교 교사 953명을 대상으로 교육사각지대 학습자 교사평정척도를 사용하여 교육사각지대 학습자의 특성을 평정하였다. 다음으로 잠재집단분석방법을 통해 학습자의 잠재집단을 유형화하고 각 집단의 특성을 고려하여 계층을 명명하였으며, 도출된 잠재집단의 특성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초등학교 잠재집단은 ‘행동 및 대인관계 고위험’, ‘전반적 고위험’, ‘학습 및 인지 고위험’의 3개 집단으로 구분되었으며, 중학교 잠재집단은 ‘전반적 고위험’, ‘전반적 저위험’, ‘평균 위험 수준’의 3개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고등학교 잠재집단은 ‘전반적 고위험’, ‘평균 위험 수준’, ‘학업 및 심리 정서 고위험’, ‘전반적 저위험’의 4개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we purposed to prepare basic data to support learners’ improved school adaptability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latent groups of at-risk learners in blind spot of education across school levels. For this, total 953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across the whole country were collected and they evaluated the characteristics of at-risk learners in blind spot of education by using Teacher’s Scale. Then we classified latent classes of learners by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and named each group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atent group. Also, we identified if there were any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lass. As a result of the study, latent groups of elementary school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Conduc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High Risk’, ‘Overall High Risk’, and ‘Learning and Cognition High Risk’ group. And latent groups of middle school into three groups: ‘Overall High Risk’, ‘Overall Low Risk’, and ‘Average Level of Risk’ group. Latent groups of high school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Overall High Risk’, ‘Average Level of Risk’, ‘Academic and Intrapsychic High Risk’, and ‘Overall Low Risk’ group. Finally we discussed the significance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ome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아영(Ahyoung Cho),유인화(Inwha Yoo),이유라(Youla Lee),황재호(Jaeho Hwang),최수미(Sumi Choi). (2021).단위학교별 교육사각지대 학습자 잠재집단 분류 및 특성 분석. 학습장애연구, 18 (1), 155-178

MLA

조아영(Ahyoung Cho),유인화(Inwha Yoo),이유라(Youla Lee),황재호(Jaeho Hwang),최수미(Sumi Choi). "단위학교별 교육사각지대 학습자 잠재집단 분류 및 특성 분석." 학습장애연구, 18.1(2021): 155-17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