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특수교육대상자의 중학교 시간제 특수학급에서 완전통합학급으로의 전환에 요구되는 지원요소 탐색

이용수 184

영문명
A Study of Educational Core Elements of Transition Support from Special Class to Full Inclusion in Middle School
발행기관
한국학습장애학회
저자명
이경원(Kyungwon Lee) 이미지(Miji Lee) 채창희(Changhee Chae)
간행물 정보
『학습장애연구』제18권 제1호, 179~20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4.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시간제 및 전일제 통합교육 특수교육대상자를 지도한 경험이 있는 특수교사와 일반교사를 대상으로 포커스그룹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와 델파이 조사를 수행하고, 부분 통합교육에서 완전 통합교육으로의 전환에 요구되는 지원 요소를 도출한 연구이다. 연구절차는 우선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초점 질문을 개발한 후, 총 5명의 전문가 집단에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대영역 2개, 중영역 10개, 개념 및 내용요소 36개를 도출하였으며, 내용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델파이 조사를 2회 실시하였다. 델파이 조사는 중학교 특수교사 및 일반교사 총 21명을 대상으로 이뤄졌으며, 총 2개의 대영역, 10개의 중영역, 61개의 전환지원 개념과 내용요소가 최종적으로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에 따라 특수교육 및 통합교육 현장에서의 논의를 제언하였다. 중학교 현장에서 시간제 특수학급에서 완전통합학급으로의 전환을 고려할 때 본 연구에서 도출된 최종 61개의 개념 및 내용요소는 완전통합으로의 전환 준비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향후 체계적인 수평적 전환계획 수립 및 운영 시스템 구축에도 유의미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derive elements of transition support to middle school students with special needs from part-time special classroom to general classroom based on perceptions of special and general middle school teachers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 (FGI) and Delphi study. The FGI questionnaire which was developed through analyzing previous studies was conducted by five experts who are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had experienced as a homeroom teacher of students with special needs in part-time and full-time inclusion. Based on sorting and relating the list of the statement both special and general educators the researchers derived 2 core elements and 10 sub-elements with 36 concepts in total. The Delphi surveys conducted two times on 21 experts who had a experience as a teacher of full-inclusion students with special needs to select specific components and validate the outcomes and a total of 61 detailed concepts was selected as a result. The 61 components of the transition support element were educational support and legal / systemic support as 2 core elements and 10 sub-elements. Therefore the final components of the transition support in this study are suitable as core-value for changing environment from special class to general class as replacement to the full-inclusion. This study was attempted to give comprehensive elements of inclusive education and ultimately contribute to efficient and systematic support system implementing full-inclusion at the middle school level.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경원(Kyungwon Lee),이미지(Miji Lee),채창희(Changhee Chae). (2021).특수교육대상자의 중학교 시간제 특수학급에서 완전통합학급으로의 전환에 요구되는 지원요소 탐색. 학습장애연구, 18 (1), 179-202

MLA

이경원(Kyungwon Lee),이미지(Miji Lee),채창희(Changhee Chae). "특수교육대상자의 중학교 시간제 특수학급에서 완전통합학급으로의 전환에 요구되는 지원요소 탐색." 학습장애연구, 18.1(2021): 179-20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