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AI의 상용화와 개인정보 보호에 관한 논의

이용수 309

영문명
Discussions on the Commercialization of AI and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 Focusing on Image Data and Profiling
발행기관
한국보안관리학회(구:한국경호경비학회)
저자명
송기복(Song, Gi-Bok) 이제광(Lee, Je-Kwang)
간행물 정보
『시큐리티연구』시큐리티연구 제65호, 453~47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개인에 관한 데이터(Personal Data)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과 네크워크화된 기기에 의해서 빠르게 축적되고 재해석 된다. 이러한 데이터는 의료·금융·산업·서비스 분야 등에서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더욱이 고성능 센서기기로 수집되는 개인에 관한 데이터는 다양한 분야에서 가치를 창출하고 활용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개인에 관한 데이터의 무분별한 수집과 제공으로 프라이버시 침해나 당사자가 원하지 않는데도 데이터가 가공·이용되는 것에 대한 우려가 존재한다. 인공 지능(AI) 기술의 발전으로 수집된 데이터의 활용 가치와 중요도는 증가하나,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예상하지 못한 프라이버시(Privacy)에 대한 부당한 침해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개인에 관한 데이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는 개인정보 보호 관련 법제를 정비하여 개인정보의 범위와 종류를 세분화하고, 명확하게 규정하는 등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둘째는 사물인터넷, 빅데이터(Big Data) 등 새로운 분야의 성장과 더불어 개인정보를 효율적으로 활용, 관리할 수 있는 시스 템의 정비와 인공지능(AI)이 화상 데이터를 인식하여 수집·처리·보존·활용하는 절차와 규제를 위한 법제화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셋째는 화상 데이터(Image Data)는 얼굴 인증데이터(Face Authentication Data), 속성 데이터(Attribute Data), 카운트 데이트(Count Data) 등복합적인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각 유형별로 구분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AI의 상용화에 따른 「개인정보 보호법」상 개인정보의 개념과 화상 데이터를 포함한 개인정보의 이용, AI에 의한 프로파일링과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논의를 하였다.

영문 초록

Personal data is quickly accumulated and reinterpreted by the Internet of Things and networked devices. Data on these individuals are usefully used in medical, financial, industrial and service sectors. Furthermore, personal data collected by high-performance sensor devices is expected to generate and utilize value in various fields. On the other hand, however, there are concerns about indiscriminate collection and provision of personal data, such as privacy breaches or the processing and utilization of data even though the parties do not want it.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y increases the value and importance of the utilization of the collected data, but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t can lead to an unjust violation of unexpected privacy. To address these individual data problems, the following improvement measures were proposed: The first is that thorough management is needed, such as rearranging the scope and type of personal information by overhauling the legislation related to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Second, along with the growth of new fields such as the Internet of Things and Big Data, it is necessary to overhaul systems that can efficiently utilize and manage personal information, and to legislate for procedures and regulations for collecting, processing, preserving, and utilizing video data. Third, Image Data contains complex data such as Face Authentication Data, Attribute Data, and Count Data, so it needs to be distinguished for each type. In addition to the scope of personal information under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we discussed the use of personal information, including video data, freedom of decision-making by AI, and prevention of privacy infringement.

목차

Ⅰ. 서론
Ⅱ. 「개인정보 보호법」과 화상 데이터의 이론적 고찰
Ⅲ. AI에 의한 프로파일링과 프라이버시 보호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기복(Song, Gi-Bok),이제광(Lee, Je-Kwang). (2020).AI의 상용화와 개인정보 보호에 관한 논의. 시큐리티연구, (65), 453-476

MLA

송기복(Song, Gi-Bok),이제광(Lee, Je-Kwang). "AI의 상용화와 개인정보 보호에 관한 논의." 시큐리티연구, .65(2020): 453-47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