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미술과 전통색채교육 활성화 방안

이용수 5

영문명
A study on the Korean traditional colo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발행기관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저자명
김혜숙(Kim, Hye-sook)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연구논총』제28권, 1~20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12.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정보통신 기술과 교통의 발달은 문화의 세계화 현상을 불러왔다. 이러한 시점에서 타 문화의 일방적인 모방과 수용에서 벗어나 전통성과 고유성을 지닌 자국 문화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독창성과 창조성을 도출해낼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교육이 더욱 더 절실히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전통미술문화를 이해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전통색채를 선정하여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미술과 전통색채교육 활성화 방안을 구안하여 적용하였다. 즉, 본 연구에서는 2007 개정 초등 미술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전통색채교육 내용 분석과 학생, 교사의 설문을 통해 전통색채 지도방향을 제시하고, 수업모형을 구안·적용함으로써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초등학생들이 전통 색채를 좀 더 쉽게 이해하고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전통색 활성화 방안으로는 인지적·창의적 발달단계에 따른 학년별 전통색채 교육내용을 근거로 하여 미적 체험, 표현, 감상의 세 가지 영역에서 내용과 방법을 모색하였으며, 그 활동으로는 첫째, 생활 속 자연관찰을 통한 색의 감각적 체험 활동과 둘째, 통합교과적 활동을 통한 색의 기술적·창조적 표현 활동. 셋째, 온라인·오프라인을 통한 감상 및 비평 활동으로 지도 요소로 구성을 하여 수업을 전개하였다. 그 결과 전통색채의 관념적이고 상징적인 의미를 전통문화와 관련하여 미술 활동을 함으로써 전통색채에 대한 이해와 인식이 높아졌으며, 전통색채에 담긴 우리 조상들의 가치관과 미의식을 알고 민족의 전통색에 대한 정체성과 자부심을 정립할 수 있었다. 아울러 학생들이 전통색채를 현대적으로 계승·발전시키고자 하는 의지를 갖게 한 계기도 되었다. 그러나 전통색채가 아직 학문적으로 체계화되어 있지 않고 그 표본 색체계가 생활에 널리 보급되어 있지 않은 실정으로. 전통색채교육이 보다 재미있고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현실적이고 체계적인 자료가 보다 많이 계발 보급 되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elected traditional coloring as one of the ways to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traditional art culture of Korea, while establishing and applying a plan to activate the elementary school art and traditional coloring education according to the curriculum revised in 2007.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contents for the traditional coloring education were based on the research on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according to the name system of Korean standard colors revised by grafting the three kinds of art domains such as aesthetic experience, expression and appreciation, they were classified in stage and developed according to students cognitive development phases and creativity development characteristics. As a stage of sensuous experience activity for colors through natural observation in student s daily lives, the first stage consists of elements for them to perceive colors and feel the feelings of colors. As a stage of technical and creative expression activity through integrated curricular activities, the second stage consists of guidance elements for color attribute, contrast, application, symbol and synesthesia. As a stage of appreciation and criticism activity for colors through on-line and off-line, the third stage consists of guidance elements with on-line appreciation and criticism activities through computer media and off-line appreciation and criticism activities by visiting museums. On the basis of all the stages mentioned above, the art class was conducted. Unfortunately, the traditional coloring has not been academically systemized, and the sample coloring system is not widely distributed all over people s daily lives. Therefore, it is needed to develop and distribute more practical and systematic materials so that the traditional coloring education may be applied to art classes in a more interesting and effective way.

목차

Ⅰ. 서론
Ⅱ. 2007 개정 초등 미술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전통색채교육 내용 분석
Ⅲ. 전통색채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의견 조사
Ⅳ. 전통색채교육 교수·학습 내용 및 방법 개발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혜숙(Kim, Hye-sook). (2010).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미술과 전통색채교육 활성화 방안. 미술교육연구논총, 28 , 1-20

MLA

김혜숙(Kim, Hye-sook).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미술과 전통색채교육 활성화 방안." 미술교육연구논총, 28.(2010): 1-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