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과정중심 ‘역동적 평가’ 기반 두레형 작은학교 공동학습 수업실행 연구 - 교과 융화형 ‘현상기반학습’을 중심으로 -

이용수 383

영문명
An Action Research on Common Learning Lessons in Dure-Type Small School based on Task-Centric “Dynamic Assessment”: Focusing on subject convergence-type “phenomenon-based learning”
발행기관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이상신(Lee, Sang-Shin)
간행물 정보
『교육논총』제40권 제4호, 333~369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1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사회적 거리두기가 1단계로 하향 조정됨에 따라 ‘전면 등교’ 가능 여부를 두고 ‘학급당 학생 수’가 연일 화두에 오르고 있다. 이와같은 시의적 쟁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농산촌 지역의 작은학교들 중 특히 ‘학교군(school clustering)’에 기초한 두레형 작은학교의 학습 환경에 주목하였다. 지금-여기의 전환형 교육과정 시기에는 도시 및 산간벽지와 상관없이 소규모 학교가 새로운 학교 모델로 재도약할 수 있게 하는 데 중요한 견인차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는 가설을 전제로 공동학습 모형을 구안하고 이를 두레형 작은학교의 교실수업에 투입함으로써 프로그램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실행연구의 차원에서 객관적으로 타진하였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예체능 영역에 편향돼 있는 기존의 작은학교 공동교육과정 운영과 달리 두레형 작은학교의 ‘혼합학습환경(hybrid learning environment)’을 활용한 현상기반의 공동학습 프로그램에서는 예체능과 교과 영역이 주제 중심으로 조화롭게 융화돼 학습자의 ‘교차역량(transversal competencies)’이 유의미하게 함양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준다. 둘째, 적정 규모 면에서 토의・토론 학습과 같은 모둠별 활동에 제약이 뒤따를 수밖에 없는 학습 환경은 두레형 작은학교의 다양한 학생들 간 ‘역동적 평가’ 활동을 통해 오히려 개별화 교육과정을 실천할 수 있는 전환의 계기로 활용될 수 있다. 셋째, 두레형 작은학교의 공동학습 프로그램에서 ‘현상기반학습’의 방법적 전략은 ‘내용지식’의 습득을 넘어 ‘방법지식’을 활용하여 생활 속에서 실천하는 방향으로 교수・학습의 내용과 방법을 전회하여 운영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준다.

영문 초록

After the government lowered the practice of social distancing to Phase 1 nationwide, there have been daily discussions about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over the possibilities of going to school in full scale. Getting ideas from this timely issue,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learning environment of a Dure-type small school based on school clusters. During the period of transitional curriculums focused on here and how, they explored objectively the applicability of a program in the field at the level of action research by devising a common learning model and administering it in class lessons at a Dure-type small school based on the premise that small-sized schools would be important driving force in a new leap toward a new school model. As a result, the findings have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unlike the old common curriculums for a small school inclined toward entertainment and sports, the common learning programs based on hybrid learning environments at a Dure-type small school integrated subject areas with entertainment and sports around topics and thus provided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cultivate their transversal competencies ; secondly, the learning environment with inevitable limitations in group activities in terms of proper size used it as a chance for changes to practice the individualized curriculums through dynamic assessment activities among diverse students at a Dure-type small school; and finally, phenomenon-based learning in a common learning program at a Dure-type small school created a chance to convert the content and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to the direction of using and practicing knowledge of methods beyond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of content and promote their management.

목차

Ⅰ.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학급당 학생수’와 두레형 작은학교
Ⅱ. 현상기반 두레형 작은학교 공동학습과 과정중심 ‘역동적 평가’
Ⅲ. 현상기반 두레형 작은학교 공동학습 프로그램 운영의 실제
Ⅳ. 과제와 전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상신(Lee, Sang-Shin). (2020).과정중심 ‘역동적 평가’ 기반 두레형 작은학교 공동학습 수업실행 연구 - 교과 융화형 ‘현상기반학습’을 중심으로 -. 교육논총, 40 (4), 333-369

MLA

이상신(Lee, Sang-Shin). "과정중심 ‘역동적 평가’ 기반 두레형 작은학교 공동학습 수업실행 연구 - 교과 융화형 ‘현상기반학습’을 중심으로 -." 교육논총, 40.4(2020): 333-36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