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생 미술관 관람자 간의 미술작품에 관한 대화유형과 미적 발달 단계

이용수 5

영문명
Conversation Categories and Stages of Aesthetic Development based on Paired Conversation of Elementary Schoolchild Museum Visitors
발행기관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저자명
신지혜(Shin, Ji-Hye) 손지현(Sohn, Ji-Hyun)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연구논총』제44권, 49~84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2.28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생 관람자들의 대화를 분석하여 작품을 지각하고 의미를 형성하는과정에서 나타나는 대화의 특성과 전반적인 미적 발달 단계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이 두 명씩 짝을 지어 국립현대미술관에 전시된 작품을 감상하며 나눈 대화를 녹음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생 관람자의 대화는 크게 7개의 대화 유형으로 분류되어 그들의 대화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정보를얻을 수 있었다. 이와 함께 초등학생 관람자의 대화를 미적 발달 단계에 비추어봄으로써 전반적인 미적 발달 수준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생관람자의 상호작용을 통한 미술관 학습의 효과를 증진하고 미적 발달을 촉진하기 위한방안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d the process of art understanding of 24 elementary schoolchild museum visitors based on their paired conversation and analysed conversation categories and stages of aesthetic development. First, the analysis of the conversation categorie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frameworks which are reframed from Allen s and Housen s research. The two respectively categorized learning in museums and analyzed interviews related with aesthetic development. In accordance with the analysis, conversations about art works consist of seven categories: perceptional talk, conceptual talk, connecting talk, emotional talk, assessing talk, strategic talk, and other talks. These categories are also divided into sixteen subcategories. Second, the overall examination of stages of aesthetic development were conducted based on the Housen s ADI process. The result shows that the elementary schoolchilds stages of aesthetic development were presented similarly with Housen s research. But the analysis also showed that the aesthetic development levels increased when students engaged in conversations with their peers. In spite of various interruptive factors that can impact their conversations, active interaction between peer visitors seems to be a stimulus. Based on these result, the study suggests the way to promote the effects of museum education and visitors aesthetic developmen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초등학생 관람자의 대화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지혜(Shin, Ji-Hye),손지현(Sohn, Ji-Hyun). (2016).초등학생 미술관 관람자 간의 미술작품에 관한 대화유형과 미적 발달 단계. 미술교육연구논총, 44 , 49-84

MLA

신지혜(Shin, Ji-Hye),손지현(Sohn, Ji-Hyun). "초등학생 미술관 관람자 간의 미술작품에 관한 대화유형과 미적 발달 단계." 미술교육연구논총, 44.(2016): 49-8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