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테크놀러지 시각이미지시대에서 미술교육의 포지션닝

이용수 11

영문명
Positioning Art Education in Technology Image Age: Focused on the open circuit pursing the creative rollover
발행기관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저자명
김소희(Kim, So-Hee)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연구논총』제52권, 127~166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2.28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포스트 모던 테크놀러지 시각문화시대에서 우리는 실재와 공동체성이 상실되며, 가상과 실재가 혼재되는 시뮬라시옹의 현실을 살아가고 있다. 이러한 이미지화되는 분위기에서 보드리아르는 실재와 공동체성이 상실되는 내재적 위험을 조명하고 있다. 테크놀러지 시각문화의 소통양식은 모던의 텍스트와 서사성으로부터 이미지 증폭의 새로운 구성으로 소통형식이 급격히 변화되고 있다. 이러한 급속화된 분위기에서 미술교육의 새로운 지평은 시각문화예술교육의 전망과 포지션닝을 발견할 수 있다. ‘세계의 시각화, 시각의 세계화’의 이미지세계는 새로운 소통양식을 자유롭게 형성하는 잠재성의폭발을 가져온다. 이러한 점에서 시각이미지는 복잡계를 투영하는 전망을 가능하게 한다. 즉 새롭게 구성되는 시각이미지의 세계는 미술교육에서 창조적 상상력의 이미지놀이인 피크노랩시스를 가능하게 한다. 시각문화의 지배적인 경향성은 사회현상에서게임적인 속성인 창조적인 전복성을 함께 하는 관계맺기에서 부각하고 있다. 열린 회로에서 아이들의 감각의 참여는 사회의 공동체성을 회복하고, 치유하는 부식토로서 감각파장을 새기는 것이다. 시각문화예술교육에서 열린 회로의 가동은 헤테로토피아의 경계허물기로서 형상화하는 열린 소통세계를 지속적으로 환기하는 힘이며, 시대의 그림자를 치유하는 사회변화를 위한 강력한 실천효과이다.

영문 초록

Our existence and community spirit have bee disappearing in the post-modern technology visualization culture age. We live in the reality of simulation where virtuality and existence are mixed up. In such imaging exhibition mood, Baudrillard focused on the intrinsic risk losing existence and community spirit. The communication format of the technology visualization culture has been rapidly changing from the modern text and narrativity to the new configuration of image amplification. In such accelerating mood, the future art education finds out the prospect and positioning of visual culture and art education. The image world, that is, visualization of the world and the globalization of vision, brings the explosion of potentiality liberally forming the new communication format. In this aspect, the visual image enables to make a daily life aesthetic through the perspective projecting the complex system. In other words, the visual image world configured through the sense experiment in the open circuit is the image game of Picnolepsis including creative imagination and rollover in the art education. Accordingly, the sense wavelength of visual image emphasizes that the social phenomenon is the key to make the relation with creative rollover, the property of a game. Accordingly, Art education can be free from the dependent game dreaming the avatar under the supervision of public order only when activating the emotion which is not divided by the Heterotopia experiment again in the open circuit beyond closing and cutting of modern senses. Application of senses in the open circuit is to restore the social community and to engrave the sense wavelength as the humus for healing. Activation of the open circuit in the visual culture and art education is the power to continuously arouse the open communication world embodying the approach breaking up the boundary as the Heterotopia experiment and the powerful effect implementing the social change healing the shadow of the times.

목차

Ⅰ. 서 론
Ⅱ. 포스트모던 이미지의 소통양식 차이성
Ⅲ. 시각이미지의 전복적 게임: 참여하는 전망과 상상력
Ⅳ. 백남준의 열린 회로: 닫힌 회로의 감각의 봉합을 넘어서는 이미지놀이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소희(Kim, So-Hee). (2018).테크놀러지 시각이미지시대에서 미술교육의 포지션닝. 미술교육연구논총, 52 , 127-166

MLA

김소희(Kim, So-Hee). "테크놀러지 시각이미지시대에서 미술교육의 포지션닝." 미술교육연구논총, 52.(2018): 127-1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