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습관점에 따른 미술관 전시 관람객의 미적경험 측정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이용수 80

영문명
The Effects of Structure Factors of the Aesthetic Experience on the Museum Visitors’ Experience
발행기관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저자명
신희진(Shin, Hee-Jin) 김세준(Kim, Sae-June)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연구논총』제58권, 193~224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8.3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학습관점에서 칙센트미하이와 로빈슨(Csikszentmihalyi & Robinson, 1990)의 미적 경험 구조 이론을 적용하여 미술관 전시 관람객의 미적 경험을 측정할 수 있는 이론적·실증적 틀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관련한 경험, 미적경험, 관람객(학습자), 교육 전시 등의 선행이론을 검토하여 관람객의 미적 경험 요인을 도출하고(지각적 영역, 감정적 영역, 인지적 영역, 소통적 영역), 타당성 있는 측정도구로서의 설문 문항을 개발한다. 전시교육이론에 따른 학습과 지식전달로서의 전시유형을 구분하고, 관람객의 전반적인 판단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요인을 찾았다. 전시하는 오브제나 형태가 다르더라도 학습하는 관람객의 미적 경험의 구조는 유사하며, 동적이며 현장적인 입체적 전시의 증가와 ‘이벤트’적인 감각의 소통이 가능하다는 전제하에 에버스만(Eversmann, 2004)의 미적 경험의 영역별 4가지 구조영역의 세부측정항목인 지각적 영역(자발적인 신체의 반응, 관람지속시간, 전시요소들 간의 지각 결합), 감정적 영역(내러티브에 대한 감정이입, 주제와의 감정교류, 감정을 동반한 신체적 반응), 인지적(지적) 영역(전시의미에 대한 이해, 지적인 자극, 작품/오브제 또는 주제에 대한 인식, 설명문에 대한 인식), 소통적 영역(작가 또는 기획자와의 의사소통, 관람객과의 의사소통, 집단성의 느낌)으로 도출된 설문 문항을 개발하였다. 설문 문항은 전문가와 일반관람객을 상대로 안면타당도와 통계적으로 내적 일관성을 예비 검증하여 신뢰도를 높였다. 설명/해설 전시와 구성주의 전시 관람객을 우리나라의 미술관 평균관람객 프로필을 근거하여 표집한 자기기입식 설문지 방식으로 2016년 11월 25일부터 12월 3일까지 264부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전반적으로 전시유형과 상관없이 관람객의 미적 경험이 전시의 전반적인 판단에 유의하였고 4가지 영역별 유의수준은 구성주의 전시에서 지각, 인지, 소통적 영역이 높은 영향을 주었다. 설명/해설 전시에서는 지각과 인지영역이 상대적으로 높은 영향을 끼쳤다. 한편 선행연구와 다르게 감정적 영역은 동반가족여부와 전시디자인이 주는 영향으로 낮은 수준의 유의를 보였다. 연구결과 검증된 관람객의 미적 경험의 측정 틀로 미술관 전시 관람객의 학습의 질을 대안적으로 평가하고 나아가 관람객의 수준 높은 지적 욕구를 충족시켜 삶의 질을 높이는 효과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Aesthetic experience is distinguished from ordinary experience and has aesthetic quality and is the most complete and ideal experience that is an element which becomes the base on which the visitor understand artworks in the exhibition and which gives pleasure to the visitor. Despite the fact that aesthetic experience plays an important part in human experience, researches on aesthetic experience have been minimal in the researches done in the past. So the necessity arises to examine how the visitor actually have aesthetic experience through the exhibition. Accordingly, this research attempted to provide the theoretical and empirical framework in which the visitor’s aesthetic experience can be measured by applying the aesthetic experience structure theory of Csikszentmihalyi and Robinson (1990) and to find the decision factor, which positively affects the visitors’ overall judgement on the exhibition, among the “aesthetic experience” factors (the perceptual dimension, the emotional dimension, the cognitive dimension, and the communicative dimension). Through this, this research aims to raise the visitor’s needs for intellectual culture and at the same time to provide the basic data with which the qualitative part of the museum exhibition can be evaluated. To measure the exhibition visitor’s aesthetic experience and to find the decision factor, which positively affects the visitors’ overall judgement on the exhibition, among the aesthetic experience factors,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adult visitors who viewed the museum exhibition. The opposite types of exhibitions were chosen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that uses the education theory of Hein (1998), and two museum exhibitions were chosen as the explanation/interpretation exhibition and the constructivism exhibition. The data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from November 25, 2016 to December 3, 2016,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nducting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valid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3.0 and AMOS 24.0 statistics program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exhibition visitor’s aesthetic experience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overall judgement on the exhibition and that the similar results were produced in both type of exhibitions.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effects of the detailed dimension, which are the structural factors of aesthetic experience, on the overall judgment on the exhibition showed that the perceptual dimension, the emotional dimension, the cognitive dimension, and the communicative dimension had all significant effects on the overall judgment on the exhibition but there were slight differences in significance probability between these organizations. The detailed dimensions that showed the highest significance probability in didactic/interpretation mode were the perceptual dimension and the cognitive dimension, but in constructive mode, the visitor’s perceptual dimension, the cognitive dimension, and the communicative dimension showed the highest significance levels. In the researches done in the past performed by Boerner, Jobst & Wiemann (2010) on the audiences of performances, the emotional dimension and the cognitive dimension showed high significance levels, and this difference in the research results is interpreted that the sound, the collections, the exhibition design, and diverse things experienced in the exhibition had effects on the visitor’s perceptual dimension. Also, it is considered that the purpose of viewing the exhibition and the family visitor of the exhibition also had effects on the forming of aesthetic experienc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연구 및 연구 방법
Ⅲ. 본 론
Ⅳ.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희진(Shin, Hee-Jin),김세준(Kim, Sae-June). (2019).학습관점에 따른 미술관 전시 관람객의 미적경험 측정에 대한 탐색적 연구. 미술교육연구논총, 58 , 193-224

MLA

신희진(Shin, Hee-Jin),김세준(Kim, Sae-June). "학습관점에 따른 미술관 전시 관람객의 미적경험 측정에 대한 탐색적 연구." 미술교육연구논총, 58.(2019): 193-2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