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참여와 소통을 기반으로 한 전시 연계 교육 프로그램 연구

이용수 56

영문명
A Study on exhibition connected education programs based on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발행기관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저자명
안금희(Ahn, Keum-Hee)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연구논총』제58권, 245~270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8.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참여와 소통의 기제를 고찰하고, <프롬 더 비기닝>전시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며 그 교육적 의미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개발 및 자료 수집 기간은 2018년 3월부터 6월까지 총 4개월간 진행되었으며 총 619명의 대학 구성원인 대학생, 대학원생, 교수 그리고 지역 초중등 학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수행하였다. 본 전시에서는 지역주민과 대학 구성원들이 작품에 대해 비평문 쓰고 전시한 <우리들의 이야기 시작>, 전시실 내 관람자들이 작품이나 미술에 대해 궁금한 점을 쓰는 코너인 <미술아 궁금해> 그리고 관람 후 전시 주제에 대한 관람자들의 생각을 표현하는 코너인 <우리들에게 시작이란...> 등이 개발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들의 이야기 시작>이 관람자들의 관찰, 일상의 경험, 상상력 등을 통해 작품에 대한 해석과 자신의 의미를 만드는 장을 제공함으로써, 작품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고취시킬 수 있었다. 특히 일반 관람자들이 미술관의 전시에 직접적으로 참여하여 의미를 생산한다는 점(최성희, 2015)에서 적극적인 의미 생산자로서의 새로운 역할을 지니도록 하였다. 둘째, <궁금해 미술아>는 미술에 대한 일반적인 질문에서부터 전시 작품과 작가에 대한 질문을 독려하며 참여와 소통의 공간을 제공하였다. 셋째, 인천 지역 기반의 작품을 중심으로 한 전시는 지역 주민과 학생들의 지역의 문화와 역사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자연스럽게 이끌어 내었다. 넷째, 현대 사회에서 대학교의 전시 공간에 대한 관람자들의 인식은 지역의 문화공간으로서 역할, 교대 구성원을 위한 창의적 경험의 제공, 지역 주민의 미술 작품을 공유하는 공간 제공 등으로 나타났다. 제언으로, 대학교라는 전시 공간이 지닌 특수성을 고려하여 전시와 교육 프로그램 기획에 대한 대안적 접근을 다루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mechanism of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develops an educational program for the exhibition, and analyzes its educational meaning. The research development and data collection period lasted for four months, from March to June 2018, and surveyed total 619 people including university students, graduate students, professors, and local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I developed , in which college students, local elementary students, and community people wrote art writing about artworks and displayed those writings. The second, is a participatory corner where visitors in the exhibition room write questions about the art works and art. The third, is the participatory place for visitors to write or draw what they felt after visi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ovided an opportunity for viewers to do their own interpretation and meaning-making through their observations, everyday experiences, and imagination, which could inspire interest and understanding of the works. Second, encouraged the questions about art from exhibitions and artists and provided a space for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Third, the exhibition centered on Incheon-based works led to the understanding and interest of the culture and history of the community. Fourth, regarding the role of exhibitions in universities, visitors suggested role as providing a cultural space in local community, providing creative experiences for university members, and providing places where local residents exhibit their own artworks. As a suggestion, a follow-up study is needed to address alternative approaches to exhibition and educational program planning, taking into account the specificity of the exhibition space in universit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프롬 더 비기닝>전의 교육 프로그램의 실제
Ⅳ.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금희(Ahn, Keum-Hee). (2019).참여와 소통을 기반으로 한 전시 연계 교육 프로그램 연구. 미술교육연구논총, 58 , 245-270

MLA

안금희(Ahn, Keum-Hee). "참여와 소통을 기반으로 한 전시 연계 교육 프로그램 연구." 미술교육연구논총, 58.(2019): 245-2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