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화 기술을 적용한 학습자 중심 감상법

이용수 33

영문명
Learner-centered appreciation method using dialogue technique
발행기관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저자명
이화식(Lee, Hwa-Sik)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연구논총』제58권, 225~244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8.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철학적으로 실존주의와 현상학, 문화적으로 포스트모더니즘, 교육적으로 구성주의 흐름 속에서‘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는 시각적 소통 능력, 자기 주도적 미술 학습 능력 등이 강조하고 있다. 그래서 창작 활동뿐만 아니라 감상 활동에서도 이를 반영하고 있다. 학교 현장이나 다양한 감상이 이루어지는 박물관, 미술관 등에서 학습자가 중심이 되어 소통을 통해 담론을 만들어 내도록 요구하고 있다. 그 결과 대화 중심 감상이라는 형태의 감상 수업이 중시되고 있다. 그러나 교육현장에서는 아직까지 대화 중심 감상 활동에 대한 적용이 미흡한 실정이고 대화 중심 감상에 대한 실제적인 대화 기술 연구나 사례가 부족한 측면이 있다. 그래서 본 연구는 대화 중심 감상 수업을 위해 수업 사태 별로 구체적 대화 기법을 제시하여 학교 현장이나 박물관, 미술관, 전시장 등에서 구체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 내용은 다음 두 가지이다. 첫째, 대화 중심 감상에서 진행되는 학습의 발달 단계를 새롭게 제시한다. 이를 위해 Yenawine와 Housen(2010)이 제시한 대화 중심 감상 모형 , 교육인적자원부(2007)가 제시한 반응중심학습법 모형 을 참고했다. 그리고 대화 집단의 전개 모형을 제시한 Peck(1998), Tuckman(1965), Corey, Corey & Corey(2016) 등을 참고하였다. 둘째, 대화 중심 감상을 위한 구체적인 대화 기술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Haney와 Leibsohn(2012), Hill(2013), Sharf(2008), Gysbers와 Heppner, Johnston(2003)이 제시한 대화 기술을 바탕으로 개인과 집단 대화 기술을 구분하여 각각 7개씩 14개 기술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대화 중심 감상이 이루어지는 현장에서 실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모형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Changes in our society are rapidly changing b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s a result, communication, cooperation and creative thinking are emphasized in the educational field. In such a flow, though the appreciation education is emphasized by the learner - led dialogue - centered appreciation, there is a lack of actual dialogue technology research and cases.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concrete dialogue technique for each class event for the dialogue - based appreciation class so that it can be used at the school site, museum, art gallery, exhibition hall, etc. There are two specific research contents. First, we suggest the developmental stage of learning progressing from dialogue appreciation. To this end, we refer to the dialogue-based appreciation model proposed by Yenawine and Housen(2010) and the reaction-based learning model propos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2007). And Peck(1998), Tuckman (1965), and Corey, Corey & Corey(2016) which suggested the developmental model of conversation group. Second, concrete dialogue techniques for dialogue-based appreciation are presented. For this purpose, seven individual conversations were presented based on the conversation skills presented by Haney and Leibsohn(2012), Hill(2013), Sharf(2008), Gysbers and Heppner and Johnston(2003). This suggests a model that can be practically used in the field where dialogue-based appreciation takes place.

목차

Ⅰ. 서 론
Ⅱ. 대화 집단의 전개 단계
Ⅲ. 사고를 촉진하는 대화 기법
Ⅳ. 대화 기술을 적용한 감상 교육 모형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화식(Lee, Hwa-Sik). (2019).대화 기술을 적용한 학습자 중심 감상법. 미술교육연구논총, 58 , 225-244

MLA

이화식(Lee, Hwa-Sik). "대화 기술을 적용한 학습자 중심 감상법." 미술교육연구논총, 58.(2019): 225-2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