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교미술교육에서 문화적 환경으로서의 교사 위치와 역할

이용수 42

영문명
As Cultural Environment, Teacher s Position and Role in School Art
발행기관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저자명
진은정(Jin, Eun-Jeong)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연구논총』제58권, 1~16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8.31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삶과 문화의 맥락이 강조되는 현대미술교육과 역량 중심의 현행 교육과정에 따라, 학교미술교육을 위한 환경적 요인으로서의 교사 위치와 역할에 대해 논한다. 그동안 미술교육환경에 대한 논의가 물리적 환경론에 치우쳐왔다면, 인간 활동 그 자체를 환경으로 보는 내재적 관점에 입각하여 미술교육환경 구성의 주체 중 교사에 초점을 맞추어 미술교육환경에 대한 논의를 풀어간다. 이를 위해 오늘날 미술교과교육의 특성과 현대교육일반의 동향 및 새롭게 주목받는 지식 개념에 대해 살펴보고, 다음으로 현장 교사들의 미술교육에 대한 이해와 인식 정도, 교사문화의 특징을 통해 학교미술교육의 상태 및 교육 여건에 대해 진단해보면서 미술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오류와 간과 지점들을 검토할 것이다. 끝으로 학교미술교육에서 교사의 위치와 역할을 재설정하고, 교사의 역량 문제에 대한 해결이 학교미술교육의 정상화와 활성화를 위한 선행 조건임을 지적한다. 생활공간인 학교에서 학생들이 마주하는 교사의 태도, 언행, 표정 등 교사의 언어적 행위뿐 아니라 비언어적 행위까지 교육내용이 되어 전달되는 잠재적 교육과정의 역할을 하는 만큼, 교사는 문화적 환경의 속성을 지니고 있는 것이라 볼 수 있다. 이에 교사는 자신의 위치와 역할에 대해 지속적인 성찰적 실천을 이어갈 수 있어야 하고, 학교생활 자체가 학교미술교육의 장으로 활용될 수 있어야 학교미술교육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영문 초록

On the ground of current curriculums which are centered on contemporary art education and capability, this thesis will examine the teacher s role and position as an environmental influence on art education in school. Discussion on an environment for learning art will focus on teacher, one of the integral elements in building learning environment, based on fundamental, intrinsic angle where human behavior itself is seen as learning environment, while it has been focused on the influence of the physical environment all the while. To do so, it is necessary to look over the characteristic of contemporary art education and trends in general education and also to examine art-education condition at school through schoolteachers perspectives on and insight into art education, and features of the faculty culture. This can reestablish schoolteachers positions and roles in art education and project how important their behaviors are in creating environment for learning art to understand life and culture better. Additionally, since their demeanor, utterance, facial expressions, including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which are naturally exposed to students, can play involuntary but critical roles at school, serving as curriculums unknowingly, teachers should introspect continuously and make an effort to utilize such daily school life as the very art education.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미술을 통한 삶과 문화의 이해
Ⅲ. 학교미술교육의 교육여건 및 교사의 위치와 역할
Ⅳ. 문화적 환경으로서의 교사에 대한 이해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진은정(Jin, Eun-Jeong). (2019).학교미술교육에서 문화적 환경으로서의 교사 위치와 역할. 미술교육연구논총, 58 , 1-16

MLA

진은정(Jin, Eun-Jeong). "학교미술교육에서 문화적 환경으로서의 교사 위치와 역할." 미술교육연구논총, 58.(2019): 1-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