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우리는 왜 학교에 가는가?

이용수 413

영문명
Why Should We Go to School? - The Impact of Online Semester on Freshmen
발행기관
한국교육방법학회
저자명
김희삼(Kim, Hisam)
간행물 정보
『교육방법연구』제32권 제4호, 651~67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1.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대학 신입생의 정상적인 사회화 과정이 생략된 상황에서 온라인수업에 대한 인식과 일상생활 등에서 신입생이 상급생과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분석함으로써 학교의 사회화 기능이 갖는 의미를 재조명하고자 했다. 국내 5대 과학기술특성화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신입생은 상급생에 비해 온라인수업의 교육효과를 낮게 평가했고, 집에 머무는 고립된 환경에서 온라인수업을 수강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따라 신입생은 온라인수업에서 과제 도움을 주고받을 친구가 없는 문제와 네트워크 연결 장애와 같은 애로를 상급생보다 많이 겪었다. 온라인수업에서 궁금증을 해결할 기회의 충분성, 수업시간의 집중도, 학습동기부여 등에서도 신입생은 상급생보다 낮은 평가를 내렸다. 실시간 온라인수업의 경우, 신입생이 상급생보다 소통과 상호작용에 대해 더 높은 욕구를 보였으나, 현실의 수업 운영이 이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해 수업에 대한 집중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녹화강의 제공 방식의 온라인수업에 대해서도 신입생은 녹화강의의 질과 양에 대한 평가, 궁금증 해결 기회, 예습 및 복습이 용이한 장점의 활용, 수업 집중도 등에서 상급생보다 낮은 평가를 내렸다. 결과적으로 신입생은 상급생에 비해 온라인수업의 추천 의향 및 온라인강의 수강 의향도 낮게 나타났다. 나아가 온라인교육의 일반적인 장점과 잠재적 가능성에 대해서도 신입생의 평가가 상급생보다 낮았다. 한편 온라인학기 중 일상생활에서도 신입생이 상급생보다 자기관리나 시간의 생산적인 활용 면에서 상대적으로 미숙했음이 드러났다. 이러한 발견은 수업을 소통과 상호작용이 활발한 방식으로 설계하고 학교의 사회화 및 사회자본 함양 기능을 강화하는 것이 온라인강의의 개선은 물론 학교에 가는 의의를 살리기 위해서도 핵심적임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re-examine the meaning of the socialization function of the school by analyzing how new students differ from senior students in their perception of online classes and daily life in a situation where the normal socialization process of college freshmen was omitted due to the COVID-19 incident. The results of a survey of students enrolled in the five major universities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Korea show that freshmen evaluated the educational effects of online classes lower than senior students, and most freshmen took online classes in an isolated environment. As a result, freshmen suffered from more difficulties such as having no friends to give and receive help with assignments, and network connection problems. In terms of opportunities to solve questions, concentration on the class, and motivation for learning, freshmen showed lower evaluation than senior students. In the case of real-time online classes, freshmen showed a higher desire for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but the actual class management did not satisfy this desire, leading to their lower concentration on the class. Regarding recorded lectures, freshmen gave lower evaluations in the quality and quantity of recorded lectures, opportunities to solve questions, the possibility of easy preparation and review, and class concentration. As a result, freshmen were less likely to recommend online classes and less willing to take them. It was also revealed that in daily life during the online semester, freshmen were relatively inexperienced in terms of self-management and productive use of tim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esigning classes in a way that is active in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and reinforcing the socialization and social capital cultivation functions of schools are essential to not only improve online lectures but also persuade the significance of going to school.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분석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희삼(Kim, Hisam). (2020).우리는 왜 학교에 가는가?. 교육방법연구, 32 (4), 651-678

MLA

김희삼(Kim, Hisam). "우리는 왜 학교에 가는가?." 교육방법연구, 32.4(2020): 651-67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