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횡혈식석실로 본 소가야 지배층 묘제의 성립과 의미

이용수 637

영문명
The Establishment of the So Gaya Ruling Class Burial System and its Meaning: with focus on the horizontal entrance stone-chamber tombs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김준식(Kim, Junsik)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116집, 187~21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9.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6세기 전엽 가야 지배층 묘역에서는 수혈식석곽을 대신하여 횡혈식석실이 등장하게 된다. 출현기 가야 횡혈식석실은 중앙연도식과 세장방형 평면형태를 특징으로 하고, 주로 남강 주변지역에서 확인되고 있다. 비슷한 시기 남해안 일대의 고성지역에서도 횡혈식석실이 축조되는데, 세장방형이 아닌 장방형 평면형태가 특징이다. 고성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는 이 장방형 횡혈식석실은 대부분 현실의 너비가 200cm 이상으로 길고, 너비 60~80cm의 좁은 연도가 부착되어 있다. 세장방형 횡혈식석실과 비교되는 이러한 구조의 횡혈식석실은 고성 송학동고분군을 비롯해 내산리고분군, 연당리고분군 등 당시 고성지역의 대형 고분에서 거의 비슷한시기에 축조되기 때문에 소가야를 대표하는 횡혈식석실로 설정하였다. 소가야 횡혈식석실의 성립배경으로는 주축직교장과 미리 설치된 목관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부분이 묘제에 반영되었고, 결과적으로 소가야 횡혈식석실이라는 고유한 형태가 창출된 것으로 이해하였다. 소가야 지배층은 이러한 구조의 횡혈식석실을 축조하였음을 강조하면서 기왕의 연구를 더해 6세기 전~중엽 소가야 중심권역을 설정할 수 있었다. 그리고 진주, 함안, 의령, 순천지역에서 분포하는 소가야 횡혈식석실을 통해 당시 남강과 낙동강, 그리고 남해안 일대 교류의 거점지역과 소가야의 관계를 추정하였다. 본 연구는 6세기 가야 사회에서도 지배층을 중심으로 특정 형식의 묘제를 축조하였고, 그 집중 분포범위는 당시의 중심권역과 거의 유사함을 밝혀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영문 초록

It is possible to observe the use of stone-chamber tombs instead of stone-lined pit burial tombs for Gaya’s upper class in the early 6th century. The early stone-chamber tombs of Gaya are characterized by central passageways and elongated rectangular floors, and are commonly found in the Nam River region. It is also possible to identify stone-chamber tombs built around the same time from Goseong of the southern coastal regions of South Gyeongsang Province. However, these tombs are characterized by rectangular floors, instead of elongated ones. Distributed around Goseong, stone-chamber tombs with rectangular floors generally have widths of 200cm or greater, with narrow passageways with lengths of 60-80cm. These stone-chamber tombs can be differentiated from stone-chamber tombs with elongated rectangular floors. As the tombs were constructed around the same time as tombs for the highest upper class of Goseong (the Songhak-dong Tombs, Naesan-ri Tombs, and Yeondang-ri Tombs), they became the major stone-chamber tombs of So Gaya. The possible reason of the emergence of So Gaya stone-chamber tombs may have been the need to place the coffin perpendicular to the corridor near the wall or the possibility of the use of pre-installed wooden coffins. Such burial methods were reflected in the tomb type, resulting in the unique tomb type of So Gaya stone chamber tombs. The So Gaya upper class commonly shared such stone chamber tombs, and this led to the securing of the main ruling power of So Gaya during the early- to mid-6th century. In addition, it was possible to estimate the footholds for regional exchange and relationships with So Gaya through the stone chamber tombs of Jinju, Haman, Uiryeong and Suncheon. This study, which focued on the tomb type featuring a specific structure unique to Gaya during the 6th century used by the upper class of the area, is significant as it views the major area of tomb distribution in political terms.

목차

Ⅰ. 머리말
Ⅱ. 소가야 횡혈식석실의 설정
Ⅲ. 소가야 지배층 묘제의 성립과 전개양상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준식(Kim, Junsik). (2020).횡혈식석실로 본 소가야 지배층 묘제의 성립과 의미. 한국고고학보, 116 , 187-214

MLA

김준식(Kim, Junsik). "횡혈식석실로 본 소가야 지배층 묘제의 성립과 의미." 한국고고학보, 116.(2020): 187-21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