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적석목곽묘 두상부 부장군 부장 용기와 그 의미

이용수 564

영문명
The Meaning of Vessels Buried Around the Head of the Deceased in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s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김은경(Kim, Eunkyung)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116집, 149~186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9.30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적석목곽묘 주곽 내에서 확인되는 두부 부장군(頭部副葬群)은 피장자를 위한 여러 공헌품이 부장되는 공간으로 이해된다. 이 글은 피장자의 머리맡에 마련된 유물부장칸과 부장궤에 부장된 용기류 중 금속용기와 토기에 주목하여 구체적인 부장양상과 의미를 검토해 본 것이다. 두상부 부장군에 부장된 금속용기는 다양한 기종이 확인된다. 각 기종들은 부분적으로 세트 관계를 이루고 고분별로 차등 및 선택적으로 부장되는 경향성이 확인된다. 이것은 피장자의 사회적 지위를 의례적 지위로 드러내고자 하는 과시적인 부장의 결과로, 금속용기의 기종별 부장특징은 피장자의 위계와 성별, 고분 축조집단별로 공유되는 의례적 성격에 기인한 결과라 생각한다. 토기의 부장은 음식의례의 관점에서 살펴볼 수있다. 의례에는 다양한 음식물이 사용된 것으로 보이지만, 토기 기종에 따른 음식물의 규칙성은 파악되지 않았다. 또한 두상부 부장군의 용기류는 고분의 위계에 따라 양과 질에서 차이가 있으나, 수량은 위계와 부합하지는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두상부 부장군의 각종 용기들은 기본적으로 음식의례에 사용된 제기로 볼 수 있지만, 부장된 유물의 특정조합군과 부장위치, 각 용기의 기능과 특징 등을 통해 다양한 공헌의례가 이루어졌음을 상정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의례의 종류와 성격은 피장자의 위계와 성격, 고분 축조집단의 정체성에 따라 그 내용이 각기 달랐던것으로 판단되는데, 피장자나 지신(地神) 공헌품(제기), 장례에 참여한 사람들의 공음공식(共飮共食)의례 등과같이 다양한 음식의례의 맥락으로 해석 가능하다. 향후 피장자와 관련된 유물, 음식의례품, 제기 등, 의례의종류와 기능에 따라 신라 무덤의 공헌의례를 심층적으로 해석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vessels buried in the ‘grave goods space around the head of the deceased’ found within the main burial chamber of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s. Various kinds of metal containers were buried in these ancient tombs and the formation of sets and selective use could be observed for certain types. Their use represents an ostentatious type of burial ritual used to display the social position of the buried person within a ceremonial context; the nature of their deposition was determined by the ceremonial properties shared by each group that constructed the tombs, as well as the rank and gender of the deceased. Ceramic vessels were buried as part of food rituals for the deceased; their deposition was associated with various contexts such as offerings (utensils used in ancestral rites) and rites for the funeral participants. In the case of high-status tombs, three to six artifact assemblage groups could be found in the ‘grave goods space around the head of the deceased’. Vessel sets of differing nature were respectively placed in boxes and buried. This practice is believed to be associated with various forms of offering rituals that had been undertaken for the deceased. Variation in terms of quantity and quality could be observed for the vessel types, reflecting the rank of the tomb owner. The artifacts placed within the ‘grave goods space around the head of the deceased’ of the main burial chamber were objects associated with the deceased, food ritual items, and utensils used in ancestral rites; the auxiliary chamber, on the other hand, was found to mainly contain pottery for storage. Beginning from the mid-5th century, side dish plates, steamers, and iron pots were buried so tombs can be considered to have also served as storage spaces for life in the afterworld. Therefore, the various vessels found in the ‘grave goods space around the head of the deceased’ can be seen to be associated with food rituals. It can also be assumed that diverse offering rituals were conducted for the deceased, based on the assemblage groups, burial locations,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vessel type.

목차

Ⅰ. 머리말
Ⅱ. 적석목곽묘 두상부 부장군과 부장 용기(容器)의 종류
Ⅲ. 두상부 부장군 내 용기류의 부장 특징
Ⅳ. 두상부 부장군 용기류의 부장 양상과 그 의미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은경(Kim, Eunkyung). (2020).적석목곽묘 두상부 부장군 부장 용기와 그 의미. 한국고고학보, 116 , 149-186

MLA

김은경(Kim, Eunkyung). "적석목곽묘 두상부 부장군 부장 용기와 그 의미." 한국고고학보, 116.(2020): 149-18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