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新羅 王陵의 變遷과 麻立干陵

이용수 789

영문명
The Transition of Silla Royal Tombs and Maripgan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沈炫㬚 (Shim, Hyeoncheol)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116집, 123~147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9.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신라 왕릉 연구에 있어 가장 어려운 점은 묘지석과 같이 무덤의 주인공을 알 수 있는 결정적 자료가 없다는것이다. 그러다 보니 전 시기를 통틀어 묘비가 확인된 무열왕릉, 흥덕왕릉 등 단 몇 기만이 주인공을 특정할수 있는 실정이다. 특히, 마립간기의 왕릉은 부장품의 양과 질, 봉분의 규모, 대형분의 축조 흐름과 기획성 등을 기준으로 다양한 견해가 제시되고 있지만, 쉽게 결론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 연구의 주요 기준이 되어 온 봉분의 규모를 재검토하고, 왕릉의 입지 등을 고려한 새로운 시각을 더해 마립간릉을 추정하였다. 그 결과, 신라 왕릉의 규모는 마립간릉으로 추정되는 황남대총 남분의 축조연대와 상관없이 6세기 초 지증왕릉부터 전대의 70m급에서 50m급으로 왕릉의 규모가 대폭 축소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지증왕대부터시작된 여러 사회변화와 연동하는 것으로 보았다. 이후 중고기 초기의 왕릉은 석실묘로 묘제가 변화하지만봉분의 규모는 대략 40~50m 사이를 유지하다가 진평왕릉 이후로 다시 한 번 봉분의 규모가 35m 이하로 축소되는 변화를 보인다. 한편, 왕릉급으로 추정되는 대형분들은 입지상에서도 독립적이고 돌출된 위치에 축조되어 중소형분과는 뚜렷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필자의 연대관에 따라 황남대총 남분을 눌지마립간에 비정한다면, 나머지 최대형분인 봉황대(125호) 와 서봉황대(130호)는 각각 자비마립간과 소지마립간의 능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들은 봉분의 규모가 모두70m급으로 장자 세습을 통한 5세기 후반 강력한 왕권의 모습을 무덤으로 표출한 것이다. 그다음 이들과 계통을 달리하는 지증마립간릉은 축소화된 6세기초 왕릉(50m급)후보군 가운데서 찾아야 하며, 황남대총 서단에 위치하는 천마총(155호)도 입지로 보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한편, 서악동고분군의 대형분 4기는 기존 측량 내용과 달리 전체 지형과 호석 등을 고려해 보았을 때, 봉분 직경이 모두 40~50m 정도이며 봉분의 평면형태도 원형에 가까워 석실묘로 판단된다. 따라서 법흥왕대 이후의 중고기 초기 왕릉군으로추정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most difficult issue in the study of Silla royal tombs is the fact that there is no conclusive evidence, such as tombstones, which make possible the identification of the main individual interred in the tomb. As a result, only a few of the tombs, such as the Royal Tomb of King Muyeol and the Royal Tomb of King Heungdeok, have been securely identified. In the case of the Royal Tombs of the Maripgan Phase, various views have been put forth, based on the quantity and quality of burial goods, the scale of the burial mound, the flow and planning of the construction of the large structure but secure conclusions have yet to be arrived at. Taking these circumstances into account, this study focuses on mound size, regarded as a key element in previous studies, and presents some new perspectives on the Royal Tombs by also considering tomb location. It was established that, in addition to Tombs No. 98, 125, 130, which are independently positioned and outstanding in terms of size and location, Tombs No. 155, 134, 90, 119, 39, 143, 144 were also constructed in locations of special significance. Royal Tomb size was found to have been drastically reduced from 70m to 50m in diameter in the early 6th century, with the Royal Tomb of King Jijeung; the validity of this observation can be maintained regardless of which of the contested dates for the Southern Mound of Hwangnamdaechong Tomb, presumed to be the Royal Tomb of a Maripgan, is adopted. This reduction was seen to be linked with the various social changes that began during the reign of King Jijeung. From that point in time, the transformation of the Royal Tombs of Silla’s Middle Period into stone chamber tombs took place. Tomb size was reduced to less than 35 meters in diameter from the tomb of King Jinpyeong; after this, tomb size was reduced to less than 35 meters. If the Southern Mound of Hwangnamdaechong Tomb is regarded as the tomb of Nulji Maripgan (which is the author’s view), then Tombs 125 and 130 can be interpreted as the Royal Tombs of Jabi and Soji Marpigan, respectively, constructed after succession to the crown based on primogeniture was established in Silla.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Royal Tomb of Jijeung Maripgan, who belonged to a different branch, is located near the western end of Hwangnamdaechong Tomb, among the 50m class tombs of the 6th century (Tomb No. 155 being a key candidate). On the other hand, the Royal Tombs of Seorak-dong were judged to be tombs constructed in the Middle Period, after the reign of King Beopheung, as they have diameters of 40 to 50 meters or less, and are round in floor-plan.

목차

Ⅰ. 머리말
Ⅱ. 신라 왕릉의 판별 요건
Ⅲ. 신라 왕릉의 변천
Ⅳ. 마립간릉의 추정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沈炫㬚,(Shim, Hyeoncheol). (2020).新羅 王陵의 變遷과 麻立干陵. 한국고고학보, 116 , 123-147

MLA

沈炫㬚,(Shim, Hyeoncheol). "新羅 王陵의 變遷과 麻立干陵." 한국고고학보, 116.(2020): 123-14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