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특수교육 교육과정 운영 실태 및 개선 방안에 대한 인식

이용수 546

영문명
Perception on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Ways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Management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강종구(Kang Jong-gu) 이미숙(Lee Mi-suk) 황인영(Hwang In-young)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제13권 제3호, 1~3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9.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교육과정의 운영 실태 및 개선 방안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5개 그룹(교수 그룹 1개, 행정가 그룹 2개, 교사 그룹 2개)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면담(FGI)을 실시하였다. FGI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 교육과정 체제의 경우 보다 유연하게 적용될 필요가 있으며, 학교수준 교육과정에 있어 보다 많은 융통성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둘째,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의 경우 학교 교육 환경, 특수교육대상학생의 학업 수준,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 등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교육과정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셋째,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으로는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근본적인 체제에 대한 변화, 교육과정의 내실화 및 전문 인력 확보, 특수교육대상학생의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는 교육과정 개발의 필요성이 포함되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국내 특수교육 교육과정은 일반학교 단위에서 실시될 수 있는 교육과정의 개발 및 운영, 통합교육 환경에 배치된 특수교육대상자를 위한 교육과정의 보편적 교수 방법 포함,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기능적 교육과정 및 감각장애학생을 위한 교육과정의 개발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current status of the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and the perception of improvement way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study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FGIs) with 5 groups(1 group of professors, 2 groups of administrators, and two groups of teacher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system, it needed to be applied more flexibly, and need more flexibility in terms of school level curriculum. Second, the operation of the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needed to be conducted by considering various factors such as school education environment, special education students’ academic level, and the types and degrees of disabilities of students with special needs. Third, the developmental methods of the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included the change of fundamental system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internalization of curriculum and securing of professional personnel, and the necessity of curriculum development reflecting various needs of students with special needs.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the study aimed to develop and operate a curriculum that could be carried out at the general school level in the domestic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including the universal teaching methods of the curriculum for special education subjects placed in an inclusive education environment.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functional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multiple disabilities and a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sensory disabilities was suggest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종구(Kang Jong-gu),이미숙(Lee Mi-suk),황인영(Hwang In-young). (2020).특수교육 교육과정 운영 실태 및 개선 방안에 대한 인식.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13 (3), 1-30

MLA

강종구(Kang Jong-gu),이미숙(Lee Mi-suk),황인영(Hwang In-young). "특수교육 교육과정 운영 실태 및 개선 방안에 대한 인식."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13.3(2020): 1-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