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충남지역 특수학교 교사의 원격수업 운영 경험과 그 의미

이용수 380

영문명
A Stud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 on Distance Class in Special School in Chung-nam Province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윤태성(Yoon Tae-sung) 류수연(Ryu Su-yeon) 임경원(Lim Kyoung-won)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제13권 제3호, 179~209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9.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에 대한 대응으로 갑작스럽게 원격수업을 운영하게 된 특수교사의 경험을 들어봄으로써 향후 특수교육 분야에 도움이 될 만한 교육적 시사점을 탐색해 보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해 충남지역 특수학교에 근무하는 특수교사 8명과 면담을 하였으며, 면담에서 얻어진 자료는 포괄적 분석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원격수업에 직면한 특수학교 교사의 경험은 ‘좌충우돌 원격수업의 준비’, ‘원격수업의 시작: 길을 만들어가다’, ‘개별화교육: 산 넘어 산’, ‘특수학교 원격수업의 의미: 비온 뒤 땅 굳듯이’의 4개 상위 범주와 19개의 하위 범주로 도출되었다. 먼저, ‘원격수업의 준비’는 스마트폰과 밴드를 중심 매체로 삼아 수업자료를 확보하고 가정방문을 통해 학생의 원격수업 준비를 점검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졌으며, 이 과정에서 디지털 리터리시가 중요한 요인으로 부각되었다. ‘원격수업의 시작’은 콘텐츠 제공 중심 수업으로 진행되었으며, 수업 내용, 수업 형태, 학생과 상호작용, 원격 수업의 효과성 등이 고려되었다. 이 부분에서는 학부모의 역할이 중요하게 부각되었다. ‘개별화교육’에서는 원격수업 상황에서 개별화에 대한 새로운 접근, 큰 틀에서의 개별화교육, 작은 틀에서의 개별화교육에 관한 고려사항이 드러났다. ‘특수학교 원격수업의 의미’에서는 기본적으로 대면 수업의 대안적 성격을 지닌 수업이었으며, 원격수업의 초기에 많은 부정적 측면이 있었으나 점차 안정화되어 가면서 특수교육대상학생의 현장실습, 사후지도, 생활지도 등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또한 교육부에서 개인 차원에 이르기까지 앞으로 발생할 수 있는 비상 상황에 대비해서 지속적인 준비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특수학교에서 원격수업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사 간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로 디지털 원격환경에 알맞은 교육 방법과 개별화교육을 실행해야 하며, 원격수업을 핵심으로 한 교육과정 운영 및 지원을 위한 학교 재구조화를 모색하고 준비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 on distance education in special school. The participants of study were 8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Chung-nam province, South Korea. The data collection for the research was based on semi-structured Interviewing and analyzed with comprehensive analysis steps based on principle of practical compromise. The result of qualitative data analysis were listed as follows: Titles such as (1) Preparation of distance class (2) practice of distance class (3)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4) Meaning of distance class in special educ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reparations for distance classes were made through smartphone and Naver Band to secure class contents and check students preparation for distance classes through home visits. In this part, digital literacy was very important to practice it. Second, the practice of the distance class was conducted mainly by content provision, and the form of the class, interaction with students, and effectiveness of the distance were considered. In This part, parents served as support for classes, school work cooperation, and student life guidance. Third, in individualization education, new considerations for individualization have emerged in the context of distance classes. The distance class of special schools were basically an alternative to face-to-face classes, and they revealed many negative aspects, but they also discovered new possibilities in field practice. In case of a possible recurrence of distance classes in the future, special schools need to seek and prepare for the restructuring of schools for the operation and support of curricula centered on distance class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요약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태성(Yoon Tae-sung),류수연(Ryu Su-yeon),임경원(Lim Kyoung-won). (2020).충남지역 특수학교 교사의 원격수업 운영 경험과 그 의미.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13 (3), 179-209

MLA

윤태성(Yoon Tae-sung),류수연(Ryu Su-yeon),임경원(Lim Kyoung-won). "충남지역 특수학교 교사의 원격수업 운영 경험과 그 의미."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13.3(2020): 179-20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