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에 따른 중등학교 특수학급의 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

이용수 302

영문명
Current Status Analysis on Special Education Class in Secondary School after 2015 Revision of National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승연(Kim Seung-yeon) 김정연(Kim Jeong-youn) 허유성(Heo Yu-sung)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제13권 제3호, 127~149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9.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에 따른 중등학교 특수학급의 교육과정 운영 실태를 파악하여 적절한 지원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A광역시와 B도의 특수학급 교사 137명을 대상으로 자체 개발한 설문지를 사용하여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주요 개정 내용에 대한 교사의 이해도와 운영 실태, 인식과 요구를 조사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의 전반적인 이해도는 3.8 이상의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변인에 따라서는 20대의 교사, 5년 미만의 경력 교사의 이해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사의 약 80%는 학교 교육과정 위원회에 참여하지 않으며, 타 학년군의 교과내용을 대체하여 운영하는 것에 대해 대부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진로·직업교육 및 현장실습 영역은 특수학급 교사가 학생의 취업정보 제공과 취업처 발굴, 사후관리까지 책임지고 있었다. 창의적 체험활동은 통합학급에서 운영하는 활동에 참여한다는 응답이 50%이상이었다. 자유학기와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은 대부분이 완전 통합으로 운영하며, 학생의 흥미도와 참여도는 대체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과정의 주요 개정 내용별 운영 지원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가 매우 크게 나타났다. 주요 개정 내용별 지원 요구는 모든 항목에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특수학급 교육과정 운영의 지원 방안과 발전적 방향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appropriate supporting measures for special education class in secondary school with regard to the 2015 revision of national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137 special education teachers from A metropolitan city, B Cities and Provinces answered questionnaires about their understanding of the revision, operating condition, and support demands. The results revealed that, first, the level of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revision was high with more than 3.8 point, and the teachers in their twenties, with less than 5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showed the highest comprehension level. Second, about 80%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not participated in school curriculum committee, showing positive stance in accepting curriculum of other grade. In the sphere of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field practice educati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ssumed responsibilities of providing job information, discovering job opportunity. as well as post management. More than half of the teachers responded to operate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through participating in the inclusive class. Most of the exam-free semester and school sports clubs activities were operated through full inclusion, showing high level of interest and participation rate of students. Third, the difference in importance and performance was very high in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f operational support from the revision. The demand for support in each major point of the 2015 revision was high. Based on these results, supportive measures and future direction for special education class were discussed.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승연(Kim Seung-yeon),김정연(Kim Jeong-youn),허유성(Heo Yu-sung). (2020).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에 따른 중등학교 특수학급의 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13 (3), 127-149

MLA

김승연(Kim Seung-yeon),김정연(Kim Jeong-youn),허유성(Heo Yu-sung).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에 따른 중등학교 특수학급의 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13.3(2020): 127-1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