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우울성향 청소년의 명화감상 집단미술치료에 대한 현상학적 체험연구
이용수 472
- 영문명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xperience of Teenagers Participation in Famous Painting Appreciation Program for Depression
- 발행기관
-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 저자명
- 박정선(Park, Jung Sun) 김연수(Kim, Yeon Su) 허난설(Heo, Nan Seol)
- 간행물 정보
- 『예술심리치료연구』제16권 제2호, 85~113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6.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명화감상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과정에서 우울성향 청소년의 치료 경험과 그 경험의 의미를 분석하고자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우울수준이 중등도 이상인 고등학교 여학생 9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해 2019년 6월17일부터 7월24일까지 주2회씩 선행연구를 통해 고안한 명화감상 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프로그램 과정에서 도출된 구성요소는 ‘고통을 회상하는 나’, ‘방향을 잃고 포기하는 나’, ‘버리고 채우길 소망하는 나’, ‘힘들었을 나를 위로함’, ‘새롭게 시작하는 나’, ‘새롭게 내 미래를 그려봄’이다. 참여자들의 심리적 변화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과거 상처 경험을 의식하고 이 때문에 우울감이 나타났음을 이해하였다. 둘째, 자기인식의 비합리성을 인정하고 수정하여 관계 형성을 도모하고, 지나온 삶속에서 행복했던 기억들을 찾아 정서적 안정감을 이루려 하였다. 셋째, 기존의 선입견에서 벗어나 꿈을 찾아 계획을 세우며 미래상을 만들었다. 본 연구는 명화감상 프로그램의 질적연구가 부족한 시점에서 우울성향 청소년의 명화감상 프로그램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한 것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atment experiences of depressed youths and the meaning of those experiences in the course of the famous paintings appreciation group art therapy program. To this end, 9 high school girls with moderate or higher depressive level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and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through prior research twice a week from June 17 to July 24, 2019.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The components derived from interviews conducted during the program are ‘recalling the pain , Losing direction and giving up , Hoping to throw away and fill , ’Consoling me who struggled‘, A new beginning , and Drawing my future . The participants psychological changes are as follows. First, they were aware of the injury experiences and understood that this caused depression. Second, they attempted to form relationships by acknowledging and revising the irrationality of self-awareness, and seeking emotional stability by finding happy memories in the past. Third, they deviated from the existing preconceptions and made plans for the future. This study is to deeply explore the depressive youth’s experience of the famous painting appreciation program when the qualitative study of the program is insufficient.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캐나다 미술치료학회지의 연구동향(1985-2019)
- RP기반 집단미술치료가 알코올 중독자의 우울, 스트레스대처능력 및 금주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푸드표현예술치료 프로그램이 영유아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우울 및 자기-자비에 미치는 영향
-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캐릭터의 자기심리학적 의미 분석과 미술치료로의 적용
- 미술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
- 특수교사의 심리적 소진을 위한 콜라주 미술치료 사례연구
- 장애자녀를 둔 부모의 회복탄력성에 따른 음악활용
- 학교 부적응 초등학생의 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우울성향 청소년의 명화감상 집단미술치료에 대한 현상학적 체험연구
- 진로관련 미술치료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PERMA기반 음악활동이 장기요양시설 경증치매 노인의 우울, 대인관계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REBT 기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유아기 자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국악중심 집단음악치료가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빅데이터에 나타난 ‘관계중독’에 대한 사회적 인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내면아이치료 상담사들의 치유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상담사 자기치유와 내담자 치유와의 연결고리
- 상담자의 비대면 화상상담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D 대학원 상담센터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