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학교 자유학기제 운영 역량 지원 요구도 분석

이용수 100

영문명
An Analysis on the Demand for Supporting the Free-semester Management Competencies in Middle Schools
발행기관
한국교원교육학회
저자명
함은혜(Eun Hye Ham) 김은경(Eunkyung Kim) 김훈호(Hoonho Kim)
간행물 정보
『한국교원교육연구』제37권 제2호, 223~245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6.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교사와 학교의 자유학기제 운영 역량을 체계적으로 진단함으로써, 단위학교의 자유학기제 운영 역량 강화에 필요한 정책적 지원 요구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충북지역 216명의 중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자유학기제 운영 역량의 중요도 및 보유도를 조사하였으며, Borich의 요구도 분석과 The Locus for Focus 모형을 활용하여 중학교 교사의 지원 요구도 및 우선순위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교육과정 운영 역량에서는 ‘요구와 자원 간 매칭’, ‘교과 수업-자유학기 활동 간 연계·조정’ 역량이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학교조직 운영 역량에서는 ‘역할 분담 및 업무 배분’, ‘전문적 학습공동체 운영’, ‘학부모 참여·협력’ 역량이 평균적으로 낮았다. 한편, 역량 요소별 중요도를 고려하여 지원 요구를 분석한 결과, 교육과정 운영 역량에서는 ‘자유학기 활동 프로그램 설계’, ‘교과 수업-자유학기 활동 간 연계·조정’, ‘학생 수행 기록·관리’와 ‘평가결과에 대한 의사소통 및 피드백’ 역량에 대한 지원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 조직 운영 역량에서는 ‘역할 분담 및 업무 배분’, ‘데이터베이스 구축’, ‘전문적 학습공동체 운영’ 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이 우선순위로 꼽혔다. 우선순위에 따른 단위학교의 자유학기제 운영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적 방안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policy support needed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the free semester system of unit schools in Korea by systematically diagnosing the ability of teachers and schools in operating their free semester system programs. To this end, 216 middle school teachers in Chungbuk area were surveyed to measure the level of perceived importance and actual retention of such competences to operate the free semester system, and the requirements and priorities of middle school teachers were reviewed using ‘Borich s demand analysis’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ability to matching needs and resources and connecting and coordinating between subject classes and free semester activities were relatively low in the capacity to operate the school curriculum management, and the ability to share roles and allocate tasks, operation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and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of parents was low in the school organization management area. Meanwhil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quirements for support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each competency element, support for designing programs for free semester activities , linkage and coordination between subject classes and free semester activities , recording and management of students performance and communication and feedback on evaluation results were urgently needed to improve the capacity of school organization. In addition, support for allocation of roles and task , database construction , and strengthening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was selected as priority. Based on such results, policy measures were discussed to strengthen the ability of unit schools to operate the free semester system according to priority.

목차

Ⅰ. 서론
Ⅱ. 단위학교의 자유학기제 운영 역량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요약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함은혜(Eun Hye Ham),김은경(Eunkyung Kim),김훈호(Hoonho Kim). (2020).중학교 자유학기제 운영 역량 지원 요구도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37 (2), 223-245

MLA

함은혜(Eun Hye Ham),김은경(Eunkyung Kim),김훈호(Hoonho Kim). "중학교 자유학기제 운영 역량 지원 요구도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37.2(2020): 223-24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