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사 역량 측정도구 개발 연구

이용수 362

영문명
Development of Measurement Scale of Teacher Competence : Focusing on 4C Competence
발행기관
한국교원교육학회
저자명
박수정(Park, Soo-Jung) 박상완(Park, Sang-wan) 이현정(Lee, Hyun-Jung) 박정우(Park, Jeong-Woo) 김경은(Kim, Kyoung-Eun
간행물 정보
『한국교원교육연구』제37권 제2호, 167~192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6.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창의성(creativity), 비판적 사고(critical thinking), 의사소통(communication), 협업(collaboration) 등 4C가 미래 사회에서 요구되는 핵심역량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이 연구는 교사에게 요구되는 4C 역량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사 역량과 4C 역량 관련 문헌 및 4C 역량 측정도구를 수집, 분석하였다. 문헌 분석을 토대로 교사의 4C 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문항을 1차로 선별하고, 이에 대한 타당도 분석을 위해 전문가 25명을 대상으로 한 전문가조사와 교사 10명을 대상으로 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전문가조사와 교사 대상 예비조사를 토대로 선별한 2차 문항은 교사 500명을 대상으로 한 본조사를 통해 신뢰도, 타당도를 검증하였고, 최종적으로 교사 4C 역량을 측정하는 25개 문항을 도출하였다. 전체 문항의 적합도는 CFI 0.92 TLI 0.91 RMSEA 0.07로 이는 최종 문항이 4요인을 잘 반영하고 있으며 개별 문항은 적합하며, 검사의 구인타당도를 충족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교사 4C 역량 측정 도구는 우리나라 교사의 4C 역량 수준을 진단하고, 개별 교사의 4C 역량 수준 및 요구를 반영한 맞춤형 교사 연수 설계, 교사 역량 중심의 교사교육 프로그램 설계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ool for measuring the 4C competence of teachers. This article focuses on 4C and core competence such as Creativity, Critical thinking,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that have been identified as being required for success in future societ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previous studies of teacher competence, 4C competency, and 4C competency measurement tool were analyzed. Based on the analyzed research, basic questions were firstly developed, and for the validity the survey questions were tested by 25 experts and then preliminary test of it was taken by 10 teachers. With the result of preliminary study, revised 4C competence measurement questions were drawn, and their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verified through a survey of 500 teachers. Finally, 25 questions were drawn for measuring teacher 4C competence. These final questions reflect each factor of 4C well, and the individual questions were also appropriate, confirming the validity of the test. The teacher 4C competence measurement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d to diagnose 4C competence level of Korean teachers and design individualized teacher training programs upon a teacher’s 4C competence level and needs as well. Also, it is expected to be used to devise teacher education programs centered on teacher competenc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수정(Park, Soo-Jung),박상완(Park, Sang-wan),이현정(Lee, Hyun-Jung),박정우(Park, Jeong-Woo),김경은(Kim, Kyoung-Eun. (2020).교사 역량 측정도구 개발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37 (2), 167-192

MLA

박수정(Park, Soo-Jung),박상완(Park, Sang-wan),이현정(Lee, Hyun-Jung),박정우(Park, Jeong-Woo),김경은(Kim, Kyoung-Eun. "교사 역량 측정도구 개발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37.2(2020): 167-1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