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교혁신 리더 교원의 관점에서 본 저항 양상과 극복 전략

이용수 189

영문명
The Resistance Factors and the strategies for Overcoming Challenges in School Innovation Policy - From the leader Teachers perspective in School Innovation
발행기관
한국교원교육학회
저자명
김성천(Kim, Seong-cheon)
간행물 정보
『한국교원교육연구』제37권 제2호, 107~136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6.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교혁신 저항의 원인과 양상, 저항하는 교원의 전략, 혁신 리더 교원의 저항 극복 전략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지닌다. 이를 위하여 15인의 혁신 리더 교원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혁신저항 원인은 ① 철학과 가치의 충돌 ② 삶의 안위 유지 ③ 주도권 상실 ④ 자기 이익 극대화로 밝혀졌다. 저항 전략은 소극적 저항과 적극적 저항으로 나누어볼 수 있다. 소극적 저항 전략으로는 ① 불만을 명분으로 포장하기 ② 이중적 실천 ③ 방관하기 ④ 시도하지 않기로 나타났다. 적극적 저항 전략으로는 ① 부정적 소문내기 ② 힘 빼기 ③ 희생양 찾기 ④ 거부하기 ⑤ 혁신 반동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저항에 맞서 혁신 리더들은 극복전략을 실천한다. 상위 전략으로는 마음 얻기 전략, 동력형성 전략, 문화와 시스템 구축 전략, 결실맺기 전략으로 나타났다. 마음얻기 전략의 하위 실천으로는 인간적으로 다가가기, 기득권 내려놓기, 어려운 일 도맡기로 나타났다. 동력형성 전략의 하위 실천으로는 공감대 형성하기, 설득하기, 거점 세우기, 주체 세우기로 나타났다. 문화와 시스템 구축 전략의 하위 실천으로는 학생중심으로 판단하기, 권한 넘기기, 덜어내기, 시스템화하기로 나타났다. 결실맺기 전략의 하위 실천으로는 ‘할 수 있는 일부터 시작하기’, 교육과정의 브랜드화로 나타났다. 두 집단의 상호작용 결과, 힘의 크기에 따라 형성된 학교의 유형을 네가지로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uses and patterns of innovation resistance, the strategy of teachers resisting, and the strategy of overcoming resistance to innovative leaders.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5 innovative leaders. The causes of innovation resistance were found to be ① conflict of philosophy and values ② maintenance of security in life ③ loss of initiative ④ maximization of self-interest. Resistance strategies can be divided into passive resistance and active resistance. Passive resistance strategies were shown to be: ① packaging complaints as justification ② double practice ③ neglect ④ not to try. Active resistance strategies were: ① negative rumor ② subtraction ③ finding victim ④ rejecting ⑤ innovation reaction. Innovation leaders practiced different strategies to overcome the varied forms of resistance. The top strategies were the mind-getting, power building, culture and system building, and fruiting. The methods of the mind-getting strategy include: approaching the opposition humanely, laying down vested interests, and taking on difficult tasks. The methods of the power formation strategy were to form a consensus, persuade, and establish both a stronghold and a subject. Methods of the culture and system building strategies were judged to be student-centered, handed over, taken away, and systemized. The method of the fruiting strategy was starting from what you can do and branding the curriculum from there. As a result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wo groups, four types of schools formed by the size of the force were present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분석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성천(Kim, Seong-cheon). (2020).학교혁신 리더 교원의 관점에서 본 저항 양상과 극복 전략. 한국교원교육연구, 37 (2), 107-136

MLA

김성천(Kim, Seong-cheon). "학교혁신 리더 교원의 관점에서 본 저항 양상과 극복 전략." 한국교원교육연구, 37.2(2020): 107-1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