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어린이집 생활시간이 유아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유아관계와 교사-유아관계의 매개적 역할

이용수 558

영문명
Effects of time spent in child care centers on children’s emotion-regulation: The mediating effects of mother-child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
발행기관
한국인간발달학회
저자명
나한아(Na, Han A) 김재희(Kim, Jaehee) 김현경(Kim, Hyoun. K)
간행물 정보
『인간발달연구』제27권 제2호, 183~204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6.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가 기관에서 보내는 시간이 점차 증가하는 최근 우리나라 현실을 바탕으로 유아의 어린이집 생활시간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과 어머니-유아관계와 교사-유아관계를 통해 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특히, 유아기에 급속하게 발달하고 전 생애를 걸쳐 개인의 사회․정서적인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정서조절능력에 유아기 기관에서의 생활시간이 미치는 영향의 메커니즘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는 경상남도 창원 지역의 3개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3∼6세 유아 384명과 어머니, 그리고 담임교사 32명이 참여하였다. 질문지를 통해서 유아의 어린이집 생활시간, 어머니-유아관계, 교사-유아관계와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을 조사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5.0과 Mplus 7.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어린이집 생활시간은 유아 정서조절 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어린이집 생활시간이 길수록 어머니-유아관계는 부정적이었으며 어머니-유아관계와 교사-유아관계가 긍정적일수록 유아의 정서조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시간의 어린이집 생활시간이 부정적인 어머니-유아관계를 통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이 나타났다. 그러나, 어린이집 생활시간이 교사-유아관계를 통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이를 통해, 최근 유아의 기관 생활시간이 길어지는 사회적 경향을 고려할 때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어머니-유아관계의 질을 높이기 위한 교육적 혹은 정책적 노력이 더욱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Children’s emotion-regulation skills have long lasting implications on their adjustment including their psychosocial 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in childhood, adolescence and beyond. The sheer amount of time young children spend in child care centers has been significantly increasing in Korea over the past few years, which has raised concerns about the ensuing effects on young children’s development, especially their emotion-regulation skills.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xtent to which children’s time spent in child care centers influenced their emotion-regulation skills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mother-child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 A total of 384 mothers of children aged 3-6 years (186 boys and 198 girls) and their teachers in three child care centers in Changwon, Gyeongsangnam-do Province in Korea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and Mplus 7. The findings indicated, first, that the hours spent in child care centers did not directly influence children’s emotion-regulation skills. Second, the number of hours children spent in child care centers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influenced mother-child relationships but did not influence teacher-child relationships. Third, both mother-child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influenced children’s emotion-regulation skills. Additionally, children’s time spent in child care centers indirectly influenced their emotion-regulation skills through poor mother-child relationships. That is, children who spent relatively more hours in child care centers tended to have poor mother-child relationships, which subsequently led to poor emotion-regulation skills. It was found that teacher-child relationships were not significant as a mediator.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time spent in child care centers did not directly influence but indirectly influenced children’s emotion-regulation by compromising mother-child relationship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parenting programs that are aimed at promoting mother-child relationships to facilitate children’s healthy development.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나한아(Na, Han A),김재희(Kim, Jaehee),김현경(Kim, Hyoun. K). (2020).어린이집 생활시간이 유아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유아관계와 교사-유아관계의 매개적 역할. 인간발달연구, 27 (2), 183-204

MLA

나한아(Na, Han A),김재희(Kim, Jaehee),김현경(Kim, Hyoun. K). "어린이집 생활시간이 유아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유아관계와 교사-유아관계의 매개적 역할." 인간발달연구, 27.2(2020): 183-2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