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비유아교사의 옹호(advocacy)와 옹호교육에 대한 인식

이용수 163

영문명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advocacy and advocacy training
발행기관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저자명
조은경(Cho, Eun Kyeong) 김미애(Kim, Miai)
간행물 정보
『한국유아교육연구』제22권 제1호, 66~92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3.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아동의 발달과 학습과 권익 보호를 위하여 목소리를 내고 도움이 필요한 가정의 아동과 학부모를 지원하는 옹호자로서의 유아교사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예비유아교사의 옹호와 옹호교육에 대한 인식을 탐색했다. 이를 위해 졸업을 앞둔 363명의 예비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정치·사회적 이슈에 대한 관심, 교사양성기관에서의 옹호관련 교육경험, 옹호교육의 필요성과 적절성에 관한 인식을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고, 이들의 사회정의옹호도(social justice advocacy)를 진단하였다. 사회정의옹호도 측정은 Nilsson et al.(2011)이 개발한 사회문제옹호 척도(Social Issues Advocacy Scale, SIAS)를 번역하여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응답자들은 유아교육 관련 정치·사회적 이슈에 대해 보통 이상의 관심을 가지고 있었으며, 옹호지식과 옹호능력에 대한 자기 효능감에 대해서는 아동 및 가족 옹호보다는 교사 옹호에 대해 더 높게 지니고 있었다. 74.1%의 응답자가 교사양성과정의 여러 과목을 통해 옹호관련 교육내용을 접하였다고 보고하였다. 둘째, 옹호관련 수업을 들었다고 응답한 그룹은 옹호지식과 옹호능력에 대한 자기 효능감, 옹호교육의 적절성 인식, 옹호교육의 필요성 인식 면에서 옹호관련 수업을 들은 경험이 없다고 응답한 그룹에 비해 높은 인식을 보였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정의옹호도는 일반적인 옹호인식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교사양성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옹호교육의 중요성을 보여주며, 교사 옹호역량계발을 위한 교육과정 논의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Focusing on the critical role of early childhood educators as advocates for vulnerable children and families, this study investigated perceptions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ECPTs) on advocacy and advocacy training. A survey collected from 363 ECPTs was used to examine their interests in political and social issues, their perceptions of advocacy-related training experiences, and the adequacy and necessity of the advocacy training. The Social Issues Advocacy Scale(SIAS) developed by Nilsson et al.(2011) was translated into Korean to measure the level of social justice advocacy of the ECP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st respondents were more interested in political and social issues related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than in general issues. In terms of self-efficacy for advocacy, the ECPTs reported higher scores in their advocacy for teachers than for children and their family. 74.1% of respondents reported that they were exposed to advocacy in their teacher training courses. Second, the ECPTs with advocacy-related training reported higher scores in relation to self-efficacy for advocacy, on the adequacy of the advocacy training they received, and on the necessity of advocacy training than those of the ECPTs who had no experience in advocacy training. Third, the level of social justice advocacy of the ECPTs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ir perceptions of advocacy training. The results indicate the importance of advocacy training in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and the need to revisit teacher preparation curriculum to build advocacy competence of ECPTs.

목차

Ⅰ. 서 론
II. 연구의 개념적 틀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은경(Cho, Eun Kyeong),김미애(Kim, Miai). (2020).예비유아교사의 옹호(advocacy)와 옹호교육에 대한 인식. 한국유아교육연구, 22 (1), 66-92

MLA

조은경(Cho, Eun Kyeong),김미애(Kim, Miai). "예비유아교사의 옹호(advocacy)와 옹호교육에 대한 인식." 한국유아교육연구, 22.1(2020): 66-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