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9~20세기 감로도의 특징과 의미 - 양주 청련사 <감로도>(1880년)를 중심으로 -

이용수 216

영문명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Gamrodo (Nectar Ritual Painting) from the Nineteenth and Twentieth Centuries: Focusing on the Gamrodo (1880) at Cheongnyeonsa Temple in Yangju
발행기관
동국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유경희(Ryu Kyung-hee)
간행물 정보
『동국사학』제66권, 5~43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6.30
7,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19~20세기 감로도의 특징과 의의를 구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16세기부터 20세기 초까지 400여 년간 꾸준하게 제작된 조선시대 감로도는 70여점 현재 전하고 있다. 감로도는 구성상 정형을 견지하면서도 시기에 따라 변화하는 도상을 보이며 전개되었다. 각 시기마다 변화를 보이는 것은 당대의 의식집, 발원자, 지역적 특징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이 글에서는 1880년에 조성된 청련사 <감로도>를 중심으로 19세기부터 20세기 감로도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19세기 감로도는 1868년 수락산 흥국사 <감로도>를 기준으로 이전 시기 감로도와 뚜렷히 변화한 특징을 보인다. 상단에는 의식에 降臨한 듯한 정면을 응시하는 7여래가 있고, 중단에는 의식장면이 확대되면서 시식단 앞에서 펼치는 作法(불교무용)과 梵唄(불교음악)가 비중을 차지한다. 의식을 준비하는 승려들의 모습, 대형기물들의 등장, 의식은 밤에 개최되지 않고 낮에 진행되며 관람자도 등장한다. 하단에는 풍속적 요소가 비중을 차지한다. 흥국사 <감로도>는 19세기 감로도의 모본과 같이 정형화되고 이후 제작되는 감로도의 도상에 영향을 끼친다. 19세기 감로도 중에서 청련사 <감로도>(1880년)는 중단의 도상에서 더욱 더 뚜렷한 양상을 보인다. 범패와 작법장면이 차지하는 비중이 다른 감로도에 비해서 독립적이고 인물들의 복식에 있어서도 차별적이다. 표현 기법상로 부처의 광배나 시식단위에 올린 殿牌를 그린 금박기법에서 매우 장식적인 기법의 사용, 금박을 사용한 길상문 등을 그린 점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점은 감로도를 조성한 近畿지역의 명망있는 화승이었던 혜과 봉간과 고산 축연의 주도적인 화풍과 상궁을 주도로 하는 시주자의 후원에 근거한다. 청련사 <감로도>를 비롯한 이 시기에 왕실관련 사찰에서 조성되었던 감로도에는 궁중장식화로부터 수용된 모티프가 도상화되고, 왕실관련 인사들을 축원하는 전패가 시식단위에 올린 모습으로 그려진다. 시식단 위로 비로자나삼신불번이 휘날리는데, 이는 당시의 거행되던 불교사상과 의식이 집약된 것이다. 한성부 왕십리의 청련사에 봉안되었던 <감로도>(1880년)는 19세기 불교의식과 후원자, 왕실원당이라는 봉안처의 특징을 뚜렷이 보이는 불화로 19~20세기 감로도를 대표한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significance and characteristics of gamrodo (nectar ritual painting) from the nineteenth and twentieth centuries. About seventy of nectar rituals paintings produced from the sixteenth to the early twentieth century during the Joseon Dynasty are extant today. While these paintings continued to achieve conventional compositions, their iconographies changed over time. Such iconographical changes seem to have resulted from ritual manuals, patron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This article analyzes distinct features of nectar ritual paintings from the nineteenth and twentieth centuries by focusing on the Gamrodo produced in 1880 at Cheongnyeonsa Temple. The nineteenth-century nectar ritual paintings created after the production of gamrodo in 1868 at Heungguksa Temple in the Suraksan Mountain are considerably different from earlier examples. The upper section of the Heungguksa gamrodo depicts the seven Buddhas looking straight ahead as if they have just descended to attend a ritual. The middle section illustrates more detailed scenes of the ritual, including Buddhist ritual dancers and musicians performing in front of the food-bestowal altar. It also includes monks preparing for the ritual held during the daytime, large-scale ritual objects, and spectators. The lower sections illustrate genre paintings. This Heungguksa gamrodo served as a standardized model for other nineteenth-century gamrodo and iconographically exerted a substantial influence on them. Among the nineteenth-century nectar ritual paintings, the gamrodo (1880) at Cheongnyeonsa presents distinctive iconographical elements in its middle section. Compared to the middle sections of other nectar ritual paintings, the mid part of the Cheongnyeonsa gamrodo emphasizes the scenes of performing Buddhist ritual dance and music. The figures are also wearing rather distinct garments. Moreover, the Cheongnyeonsa gamrodo employs decorative techniques, as shown in the use of gold leaves in mandorlas of the Buddhas, Buddhist memorial tablets on the food-bestowal altar, and auspicious patterns.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Cheongnyeonsa gamrodo were formed by the dominant painting style of Hyegwa Bonggan and Gosan Chukyeon, the prominent monk-painters who worked near Seoul, and by the sponsorship of commissioners led by court ladies. The nectar ritual paintings, including the Cheongnyeonsa gamrodo, produced at temples related to Joseon royal court around this time, embrace the motifs of decorative paintings of the Joseon royal court. In these paintings, Buddhist memorial tablets of Joseon court-related figures are placed on top of the food-bestowal altar. The banners of the Vairocana Buddha Triad are hanging over the altar as the symbol of Buddhist s and rituals. The gamrodo enshrined at Cheongnyeonsa Temple in Wangsip-ri of Hanseong-bu (present-day Seoul) in 1880 represents the nectar ritual paintings from the nineteenth and twentieth centuries, incorporat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missioners, the enshrinement in royal temples, and Buddhist rituals of the nineteenth century.

목차

Ⅰ. 서론
Ⅱ. 19~20세기 감로도의 현황과 전개
Ⅲ. 양주 청련사 <감로도>의 특징
Ⅳ. 근기지역 감로도의 새로운 양상
Ⅴ. 19~20세기 감로도의 의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경희(Ryu Kyung-hee). (2019).19~20세기 감로도의 특징과 의미 - 양주 청련사 <감로도>(1880년)를 중심으로 -. 동국사학, 66 , 5-43

MLA

유경희(Ryu Kyung-hee). "19~20세기 감로도의 특징과 의미 - 양주 청련사 <감로도>(1880년)를 중심으로 -." 동국사학, 66.(2019): 5-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