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회통합 미술교육의 개념화를 위한 탐색적 연구: 저소득층 미술영재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302

영문명
Conceptualizing art education for social integration: Based on the gifted art education for the disadvantaged
발행기관
한국조형교육학회
저자명
김선아(Sunah KIM)
간행물 정보
『조형교육』제70호, 1~20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6.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지구촌의 인구 이동으로 인해 이제 문화적, 인종적, 종교적, 경제적 차이는 한 사회를 구성하는 기본적인 요소가 되었다. 즉 동일 집단으로서의 결속력이 아닌 다양성을 전제로 한 공동체의 형성이 대부분의 사회에 던져진 당면 과제가 된 것이다. 본 연구는 사회통합을 위한 교육적 지원이 법제적, 제도적 측면에서 다루어짐과 동시에 민간 및 지역 단위에서 제공됨으로써 다양한 소수 집단에서 실제적인 변화를 기대할 수 있는 방식으로 실행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특히 외부에 서 유입되는 문화적 배경의 다양성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 안에 자리 잡고 있는 차이로 인한 갈등도 간과할 수 없는 상황에서 사회양극화로 인해 심화되는 교육 취약계층을 위한 미술교육에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개인의 문화적 다양성을 존중하고 민주적인 사회 변화를 추구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 사회통합 미술교육을 개념화하고, 이를 기초로 사회통합의 관점에서 저소 득층을 대상으로 한 미술영재교육 프로그램의 의미를 조명하는 것에 본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 다루는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 시대에 요구되는 사회통합의 조건과 접근 방법은 무엇인가? 둘째, 사회통합 미술교육은 어떻게 개념화될 수 있는가? 셋째, 저소득층 대상 미술교육을 통해 구체화할 수 있는 사회통합 미술교육의 의미는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사회통합에 대한 이론적 담론을 시작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제안하고자 하는 미술교육의 개념이 ‘지금 여기’의 실행에 관한 어떤 설명력을 가지는지를 함께 논의하였다. 저소득층 대상 미술영재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상황적, 맥락적 관점 에서 사회통합의 실제적 의미를 탐색하고자 한 것이다. 사회통합의 논의를 미술교육 안에서 재개념화 하고 이론과 실제의 연결을 통해 그 개념을 상세화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영문 초록

Due to global migration, cultural, racial, religious, and economic differences have become fundamental elements of a society. In other words, the formation of a community based on the diversity rather than the cohesiveness of the same group has become a challenge for most societies. This study started from the awareness that the educational support for social integration should be implemented in a way that expects actual change in various minority groups by being provided not only at the political, legal and institutional level but also at the private and local level. Especially, this study focused on the art education for the underprivileged, which is deepened by the social polarization in the situation where the conflict due to differences in our society can not be overlooked. To this end, this study conceptualize art education for social integration as an alternative to respect for individual cultural diversity and pursue democratic social change. Based on this concept, this study purported to draw on the meaning of the artistically gifted education for the disadvantaged in terms of social integration The research problems cover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conditions and approaches of social integration required in the present age? Second, how can integrated art education be conceptualized? Third, what is the meaning of art education for social integration that can be embodied through the artistically gifted education for the disadvantag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social integration in situational and contextual perspectiv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ould be found in that it conceptualized the discussion of social integration in art education and elaborate its concepts by linking theory and practice.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사회통합 미술교육 개념의 탐색
Ⅳ. 사회통합 미술교육으로서 저소득층 대상 미술영재교육
V.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선아(Sunah KIM). (2019).사회통합 미술교육의 개념화를 위한 탐색적 연구: 저소득층 미술영재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조형교육, (70), 1-20

MLA

김선아(Sunah KIM). "사회통합 미술교육의 개념화를 위한 탐색적 연구: 저소득층 미술영재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조형교육, .70(2019): 1-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