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교 민주 시민교육 정책 방향 탐색 : 미국 교과교육과정과 수업 유형을 중심으로

이용수 679

영문명
School-Based Citizenship Education Policy: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U.S. High School Civic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교육정치학회
저자명
장수빈(Soo Bin Jang)
간행물 정보
『교육정치학연구』제25권 제4호, 241~26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진보 교육감 및 촛불 정부의 출범과 함께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학교 민주 시민교육 정책의 방향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민주주의와 교육을 긴밀하게 연결하는 미국 사례의 특징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학교 민주 시민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한 것이다. 미국 공립학교의 출발은 국가 공동체의 건설과 사회통합을 위한 공동체적 경험이 필요하다는 당위성이었으며, 그러한 학교의 사회적 역할은 시민교육에 대한 다양한 민간 행위자들의 광범위한 관심 속에 학교 안팎의 여러 공간에서 현재까지 이루어지고 있다. 이 글에서는 미국의 공립학교, 특히 고등학교 수준에서 이루어지는 시민교육의 특징을 교육과정과 수업의 차원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고, 우리나라 학교 민주 시민교육 정책 설계에 주는 시사점에 대해 논의한다. 2장에서는 민주 시민 교과교육과정, 다시 말해서 학습 내용의 구조를 C3 사회과 교육과정과 AP 미국 정부와 정치(U.S. Government and Politics) 교육과정을 통해서 살펴본다. 교육과정은 기본적으로 선택과 배제의 작업이기 때문에, 미국 전역에서 활용되는 이 두 개의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분석하는 작업을 통해서 미국인들이 시민교육에서 어떤 지식, 기능, 가치, 태도를 중요하게 여기는지(동시에 무엇을 덜 중요하게 여기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3장에서는 미국 시민 교육학계에서 보편적으로 활용되고 오랫동안 논의된 세 가지 수업 유형을 소개한다. 이 수업 방법들은 분석적 사고와 실천성을 강조하는 미국 시민교육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2장과 3장의 분석에 기초하여, 4장에서는 미국 학교 민주 시민교육 사례가 우리나라 학교 민주 시민교육 정책 설계에 주는 시사점을 다섯 가지로 나누어 제시하며 글을 맺는다.

영문 초록

Considering the current educational leadership s notion of emphasis on democracy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rehensively analyze and synthesize the U.S. high school civic education programs in order to draw policy implications. Back in the 1830s, the common schools were advocated as a place to provide common American educational experience across different groups of immigrants, and such social purpose of public education is still valid particularly in the form of high school civics subject. This paper examines both American high school civic education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methods, and discusses policy implications applicable to South Korean public education system. In chapter two, the paper examines the structure of civic curriculum by analyzing the College, Career, and Civic Life Social Studies State Standards and A.P. U.S. Government and Politics program. Since curriculum-making is the work of selection and exclusion, the analysis of those two civic curriculum may unfold what American educators prioritize in the development of democratic citizenship. In chapter three, the paper introduces three civic instructional approaches which considered as best practices in the U.S. Those approaches capture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American civic education that emphasizes analytical thinking and participation. Based on the analysis in chapter two and three, chapter four concludes with five policy implications for South Korean policy makers.

목차

Ⅰ. 서론
Ⅱ. 고등학교 민주 시민 교과교육과정의 특징
Ⅲ. 미국의 특징적인 시민교육 교수-학습 방법
Ⅳ. 우리나라 학교 민주 시민교육 정책 설계에 주는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수빈(Soo Bin Jang). (2018).학교 민주 시민교육 정책 방향 탐색 : 미국 교과교육과정과 수업 유형을 중심으로. 교육정치학연구, 25 (4), 241-267

MLA

장수빈(Soo Bin Jang). "학교 민주 시민교육 정책 방향 탐색 : 미국 교과교육과정과 수업 유형을 중심으로." 교육정치학연구, 25.4(2018): 241-26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