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22학년도 대입제도개편 공론화 평가*

이용수 933

영문명
An Evaluate of the Public Deliberative Process on the Reform of the University Admission System in 2022
발행기관
한국교육정치학회
저자명
이주영(Lee, Ju-young)
간행물 정보
『교육정치학연구』제25권 제4호, 117~146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22학년도 대입제도개편 공론화 과정과 결과를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도출한 성공적 공론화 조건을 기준으로 평가함으로써 교육정책문제에서의 공론화 활용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대입제도개편 공론화 평가 준거는 ①운영주체의 중립성과 전문성 ②시나리오 워크숍에서 참여자의 포괄성과 과정의 공정성 ③공론조사에서 참여자의 대표성(포괄성)과 정보의 정확성 및 숙의성 ④공론화 결과의 사회적 수용성과 정책 반영도이다. 2022학년도 대입제도개편 공론화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론화 계획 및 운영·결과 도출 과정에서 운영주체의 중립성과 전문성이 부족하였다. 둘째, 시나리오워크숍과 공론조사 참여자의 대표성(포괄성) 확보에 한계가 존재하였다. 셋째, 숙의를 위한 자료의 정확성이 다소 부족하고 학습 및 숙의에 필요한 시간과 기회가 충분히 제공되지 않았다. 넷째, 공론조사 과정에 참여한 시민참여단의 숙의 효과는 낮은 수준이다. 다섯째, 공론화 결과에 대한 사회적 수용성이 매우 낮고 공론화 결과의 정책 반영도 역시 미흡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valuates the public deliberative process on the reform of the university admission system in 2022, based on the conditions of successful public deliberative process. The evaluation criterion of the public deliberative process is as follows: ① impartiality and professionalism of the central operating body ② inclusiveness of participants and fairness of process in the scenario workshop ③ the representativeness of participants and the accuracy of information and deliberation in the deliberative polling ④ social acceptability and policy reflection.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of the public deliberative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impartiality and professionalism of the central operating body was lacking. Second, There is a limit to the representativeness of the participants in the scenario workshop and the deliberative polling. Third, the accuracy of the information was lacking and there was not enough time and opportunity for learning and deliberation. Fourth, the effect of deliberation by the participants in deliberative polling is low. Fifth, the social acceptability and the policy reflection of the result of public deliberative process are insufficien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대입제도개편 공론화 평가
Ⅳ. 결론 및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주영(Lee, Ju-young). (2018).2022학년도 대입제도개편 공론화 평가*. 교육정치학연구, 25 (4), 117-146

MLA

이주영(Lee, Ju-young). "2022학년도 대입제도개편 공론화 평가*." 교육정치학연구, 25.4(2018): 117-1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