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거꾸로교실의 교실 적용 방안 연구

이용수 277

영문명
A Study on Application Method of Flipped Learning in Classroom: Centered on middle school
발행기관
한국청소년상담학회
저자명
김재국(Kim, Jae-Gook)
간행물 정보
『한국청소년상담학회지』제3권 제3호, 27~50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8.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학교를 중심으로 거꾸로교실의 교실 적용 방안을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를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거꾸로교실은 단순히 학생들이 집에서 동영상을 시청하고 온 후 수업 시간에 모둠별 활동 수업으로 진행하는 학습 단계의 변화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교실에서 교사의 가르침을 빼냄으로서 교사와 학생의 역할을 포함한 교실 내 모든 메커니즘이 거꾸로 뒤집힌다는 것이다. 거꾸로교실을 학교 현장으로 도입하기 위해서는 교사, 학생, 학부모 등 교육 3주체의 수업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디딤 영상을 녹화할 자료를 준비하고 실제로 디딤 영상을 녹화할 수 있다. 디딤 영상 녹화를 끝나면 영상을 편집하고 학생들이 시청할 수 있도록 인터넷이나 SNS에 탑재함으로서 거꾸로교실 수업을 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이 끝나게 된다. 거꾸로교실을 교실 수업에 실제로 적용하는 과정을 정리하였다. 첫째, 교사가 디딤 영상을 제공한다. 둘째, 학생이 디딤 영상을 시청한다. 셋째, 학생들이 수업시간에 모둠별로 학습을 한다. 넷째, 학생들이 수업시간에 모둠별로 발표를 한다. 다섯째, 교사나 학생들은 모둠 발표가 끝난 다음 최종 정리를 한다. 여섯째, 교사나 학생이 과정중심평가를 실시한다. 거꾸로교실이 학교에 정착되기 위해서는 방음 등의 시설 보강이 요청된다. 무엇보다도 거꾸로교실 수업에 대한 대화와 협력할 수 있는 학교 분위기 조성을 위한 전문학습공동체가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pplication of the classroom in the middle school to the contrary. Flipped classroom do not simply entail a change in the learning stage, by which the students go to the activities class by group after watching the videos at home. All of the mechanisms in the classroom, including the role of teachers and students, are reversed upside down by minimizing the teacher s instruction time, and focusing on student opportunities for guided practice, performance, and reflection. The term “flipped”(upside down) means that so that students can pre-study what the teacher will cover in class. This way, class time can be devoted to an exploration of the materials, rather than on the delivery of lectures. Here, we provide a step-by-step description of the process of actually applying “flipped learning”to classroom instruction. First, the teacher provides the basic study video. Second, the students watch the basic study video. Third, students meet in class and study the materials collaboratively. Fourth, students make group presentations in class. Students should arrange the tasks presented by the teacher as they watch the basic study video and prepare solutions. Fifth, teachers and students close group presentations with a review. Sixth, teachers and students perform Course-centered assessment. Instead of evaluating the results after class, a process-based assessment is more desirable.

목차

Ⅰ. 들어가며
Ⅱ. 거꾸로교실의 이해
Ⅲ. 거꾸로교실의 교실 적용 방안
Ⅳ. 마무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재국(Kim, Jae-Gook). (2018).거꾸로교실의 교실 적용 방안 연구. 한국청소년상담학회지, 3 (3), 27-50

MLA

김재국(Kim, Jae-Gook). "거꾸로교실의 교실 적용 방안 연구." 한국청소년상담학회지, 3.3(2018): 27-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