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듀이(J. Dewey)와 들뢰즈(G. Deleuze) 예술론에 함의된 ‘창의성’의 교육학적 재개념화

이용수 772

영문명
Pedagogical Reconceptualization of Creativity Implied in Dewey and Deleuze s Art Theory
발행기관
한국조형교육학회
저자명
옥영희(Young-hee OK)
간행물 정보
『조형교육』제68호, 91~11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0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듀이(J. Dewey)와 들뢰즈(G. Deleuze) 예술론에 함의된 창의성의 개념을 교육학적으로 재해석하여 21세기가 요구하는 창의적인 인재 육성에 관한 시사점을 찾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Ⅱ장에서는 우선 듀이 예술론의 핵심인 ‘하나의 경험’ 개념을 중심으로 전통철학이 배제했던 ‘질성적 사고’의 존재와 성격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더불어 들뢰즈 예술론에서는 초기의 의미·해석의 대상으로서의 예술과 후기 새로운 감각의 창조로서 예술에 대하여 탐구하였다. Ⅱ장을 기초로 Ⅲ장에서는 예술론에 함의된 창의성의 개념과 교육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나아가 듀이와 들뢰즈 예술론이 교육활동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듀이와 들뢰즈는 일찍이 창의성의 개념을 무엇을 만들어낸다는 ‘제작’의 개념이 아니라 새로운 발상이라는 ‘사고’의 개념으로 인식한 학자들이다. 듀이 철학의 핵심인 예술적 경험은 질적 직접성을 특징으로 하는 질성적 사고가 경험의 완결과정에 없어서는 안 될 필수 요건임을 밝힘으로써 최근 전체 교육활동에서의 예술성의 의미와 창의성을 설명하는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 들뢰즈 역시 우리의 삶을 지배하는 많은 지식, 체계, 습관들에 대하여 새로운 사유의 방식을 창조하기 위해서는 감각을 통해서 가능함을 보여주고자 햐였다. 이러한 두 학자의 예술론에 함의된 창의성에 관한 새로운 이해는 다음과 같은 교육적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교육의 개념은 결과적 지식의 ‘재현’에서 과정적 지식에서의 ‘창조’로 전환되어야 한다. 둘째, 교육활동은 ‘이성’ 중심의 교육에서 ‘감성(감각과 질성)’ 중심의 교육으로 전환 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interpret the concept of creativity implied in the art theory of J. Dewey and G. Deleuze, and to find implications for creative human resource development required by the 21st century. For the purpose, focusing on the concept of an experience , which is the core of Dewey s art theory, the existence and nature of qualitative thought , which was excluded from traditional philosophy, was examined. As for Deleuze s art theory, the arts as the object of meaning and interpretation at the early stage and the arts as the creation of perception and emotion, that is, the creation of new sense at the late stage, were examined. The educational suggestions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out that the concept of education changed from the representation of traditional conclusive knowledge to the creation of procedural knowledge. Second, it was recognized that it is necessary to shift from the education based on reason to the education based on emotion . From the viewpoint of Dewey, humans grow and lead life by constantly re-organizing their experiences. G. Deleuze also attempts to explore for new speculation by experiencing the differences repeatedly. Therefore, the core of empirical philosophy or difference philosophy is newness . Newness is the quality as the essence of arts, which is experienced as sensation in Deleuze. Therefore, the arts is the subject indeed that completes the experience, and true life and education become possible not by repeating the same thing but by repeating the creation of the difference .

목차

Ⅰ. 서론
Ⅱ. 듀이(J. Dewey)와 들뢰즈(G. Deleuze)의 예술론
Ⅲ. 듀이와 들뢰즈 예술론의 교육학적 의미 탐색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옥영희(Young-hee OK). (2018).듀이(J. Dewey)와 들뢰즈(G. Deleuze) 예술론에 함의된 ‘창의성’의 교육학적 재개념화. 조형교육, (68), 91-112

MLA

옥영희(Young-hee OK). "듀이(J. Dewey)와 들뢰즈(G. Deleuze) 예술론에 함의된 ‘창의성’의 교육학적 재개념화." 조형교육, .68(2018): 91-1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