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다차원 정책분석 모형을 활용한 교육 분야 양성평등정책 분석

이용수 1574

영문명
An Analysis of the Gender Equality Policy in Education Using Multi-Dimensional Policy Model
발행기관
한국교육정치학회
저자명
남미영(Nam, Mi-Young) 정제영(Chung, Jae Young)
간행물 정보
『교육정치학연구』제25권 제3호, 53~75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9.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양성평등정책 기본계획 중에서 교육 분야 정책 과제를 다차원 정책분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진단하고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 미투운동 등이 사회 전반으로 확산되는 것과 관련하여 ‘교육 분야의 양성평등 강화’라는 정책 과제를 실현시키기 위해 교육부 등은 어떤 노력을 기울이고 있었는지 점검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특히 양성평등교육이 성 평등에 대해서 다루고 있는 만큼 정책이 본래의 목적에 부합하여 실효성 있게 추진되고 있는지 구체적이고 다양한 관점에서 실태를 분석해야 한다. 성과 관련하여 나타나는 왜곡된 사회적인 현상들을 통해 앞으로 양성평등 정책이 어떤 방향으로 추진해야 할 것인가에 대해 신중하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Cooper, Fusarelli & Randall(2004)의 다차원 정책분석, 즉 규범적 차원, 구조적 차원, 구성적 차원, 기술적 차원에서 양성평등정책 중에서 교육 분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양성평등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해 내고자 한다. 규범적 차원에서는 양성평등관점 강화, 양성평등 의식 제고 측면을 분석하였고, 구조적 차원에서는 교육부, 시․도교육청, 학교 측면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구성적 차원에서는 교육부와 교육청 전문직, 교원 및 학생, 학부모 측면을 분석하였고, 기술적 차원에서는 교육과정 운영, 교원 연수, 평가 방법 개선, 고등교육 양성평등 운영 강화 측면 등을 분석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diagnose policy tasks in the education sector using a multi-dimensional policy model among the ‘basic plans for the gender equality policy’. It is necessary to check what efforts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others have made to realize the policy task of enhancing gender equality in education field concerning the recent spread of the ‘Me too movement’ across society. In particular, as gender equality education deals with gender equality, the situation should be analyzed from a specific and diverse standpoint whether policies are implemented effectively in accordance with their original purpose. Through the distorted social phenomena that appear in relation to performance, we should carefully consider the direction in which the gender equality policy should be pursued in the future. In this study, the multi-dimensional policy model of Cooper, Fusarelli and Randall (2004) was performed in terms of the normative, structural, constituent, and technical dimension. At the normative dimension, the two sides were analyzed to enhance the sense of gender equality and to enhance awareness of gender equality. In terms of structural dimension, there were Ministry of Education, the municipal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and schools. In addition, constituentive dimension was used to analyze public officers,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In the technical dimension, curriculum, teacher training, educational evaluation, and higher education were analyz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양성평등정책의 분석 모형
Ⅳ. 교육 분야 양성평등정책 분석 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남미영(Nam, Mi-Young),정제영(Chung, Jae Young). (2018).다차원 정책분석 모형을 활용한 교육 분야 양성평등정책 분석. 교육정치학연구, 25 (3), 53-75

MLA

남미영(Nam, Mi-Young),정제영(Chung, Jae Young). "다차원 정책분석 모형을 활용한 교육 분야 양성평등정책 분석." 교육정치학연구, 25.3(2018): 53-7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