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Activator 사용전후 부정교합 유형에 따른 각 근육 활성도의 변화에 관한 여구

이용수 4

영문명
An electromyographic study on the changes in muscle activity in different malocclusion types following activator therapy
발행기관
대한치과교정학회
저자명
이진우(Jin-Woo Lee) 차경석(Kyung-Suk Cha)
간행물 정보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제26권 제1호, 65~82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의약학 > 기타의약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1996.02.28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II급 및 III급 부정교합자를 대상으로 activator사용에 따른 각 근육의 적응 및 변화양상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성장 발육기에 있는 아동중 II급 부정교합자 15명과 III급 부정교합자 17명으로 기능적 요인을 갖고있는 자로 선정하였고, 연구방법은 전측두근(T.A.), 교근(M.M.), 후측두근(T.P.), 악이복근 전복(D.A.)의 활성도를 알아보고자 Biopak™ program과 쌍극표면전극을 이용하여 activator치료 시작시기와 사용후 6-12개월 사이의 두차례에 결쳐 안정위, 연하시, clenching등 세가지 조건에서 근활성도를 측정하여 비교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II급 및 III급 부정교합자와 정상교합자의 근활성도를 비교한 결과 안정위시와 연하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clenching시 교근과 후측두근에서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치료전 근활성도가 정상보다 작은 군은 유의성 있는 증가를, 큰 군은 유의성 있는 감소를 보이는 등 내부분의 근육이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었고, 이러한 경향은 III급 부정교합군에서 전측두근(연하시), 후측두근(clenching시), 악이복근 전복(연하시, clenching시)을 제외하고 모두에서 보였으며 II급 부정교합군에서는 전측두근(연하시), 교근(안정위, 연하시), 후측두근(clenching시)에서만 관찰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경향은 clenching시에서 감소되었다. II급 부정교합군과 III급 부정교합군과의 근활성도 비교에서 안정위시는 III급 부정교합군의 근활성도 증가율이 II급 부정교합군보다 우세했고, 연하시에는 교근을 제외하고 II급 부정교합군이, clenching시에는 역시 II급 부정교합군이 악이복근 전복을 제외하고 우세하게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tudy the changing patterns in muscle activities in Angle´s Class II and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following activator therapy. To study the activities of anterior temporal(T.A.), masseter(M.M.), posterior temporal(T.P.), and anterior belly of digastric(D.A.) muscles, surface electrodes were placed on 15 Angle´s Class II and 17 Angle´s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and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after electromyographic recordings were taken at prior to the activator therapy and at some time between 6 -12 month after the start of activator therapy. I. Class II and Class III malocclusion groups, when compared to normal occlusion grou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during resting and swallowing. Bu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masseter and posterior temporal muscles during clenching. 2. Most of the muscles studied showed a certain pattern, that is those groups whose pre-treatment E.M.G. were lower than the normal value showed significant increase after activator therapy, whereas those groups whose pre-treatment E.M.G. were higher than the normal value showed significant decrease after activator therapy. This pattern was observed in all of the muscle groups studied except T.A.(swallowing), T.P.(clenching) and D.A.(swallowing, clenching) in Angle´s Class III malocclusion group and in Angle´s Class II malocclusion group, above tendency were observed only in T.A.(swallowing), M.M.(resting, swallowing) and T.P.(clenching). This pattern was less obvious during clenching. 3. When E.M.G. activity after activator therapy between Angle´s Class II and Class III malocclusion group was compared, Class III malocclusion group showed more increase during resting, and Class II malocclusion group showed more increase during swallowing and clenching excepting M.M. and D.A. respectively.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진우(Jin-Woo Lee),차경석(Kyung-Suk Cha). (1996).Activator 사용전후 부정교합 유형에 따른 각 근육 활성도의 변화에 관한 여구.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26 (1), 65-82

MLA

이진우(Jin-Woo Lee),차경석(Kyung-Suk Cha). "Activator 사용전후 부정교합 유형에 따른 각 근육 활성도의 변화에 관한 여구."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26.1(1996): 65-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