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측두하악장애를 가진 교정환자 교합의 형태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entition and morphologic malocclusion of the temporomandibular dysfunction patient
발행기관
대한치과교정학회
저자명
김미애(Mee-Ae Kim) 정규림(Kyu-Rhim Chung)
간행물 정보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제26권 제1호, 53~63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의약학 > 기타의약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1996.02.28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경희대학교 부속 치과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환자들 중 초진시 2도 이상의 측두하악장애증상을 보이는 환자 73명과교정치료로 내원한 환자들중 부정교합을 보이나 측두하악장애가 0도인 환자 30명으로 총 103명의 상하악모형과 정모두부방사선사진을 대상으로 수평피개, 수직피개, 개방교합, 반대교합, Curve of Spee의 깊이. 정중선 편위, 안모비대칭, 치면마모, 치료지수, 연령 및 성별분포 등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측두하악장애군의 연령분포는 20대, 10대, 9세 이전의 순으로, 여성의 비율이 더 많았으며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2. 수평피개와 수직패가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p<0.05) 수평피개와 수직피개를 함께 고려한 6가지 분류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3. 전치부개방교합은 장애군에서 더 많았으나,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4. 전치부 반대교합은 정상군에서 더 많았으나, 구치부 반대교합은 장애군에서 더 많았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5. Curve of Spee의 깊이는 측두하악장애군이 더 깊었으며,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6. 정중선평위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안모비대칭은 장애군에서 더 많았으며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7. 치면마모는 측두하악장애군이 정상군보다 많았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8. 치료지수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측두하악장애를 보이는 군은 정치부 개방교합, 구치부 반대교합, 깊은 Curve of Spee, 치면마모 및 안모 비대칭 등의 여러가지 부정교합 양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았다. 고로 이러한 부정교합의 양상을 보이는 환자들은 측두하악장애의 가능성이 많으므로 치료계획 수립시나 치료기간 동안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In order to analyze the occlusion of TMD patient, 73 casts and post eroanterior cephalometric X-rays of patients showing TMD symptoms at first interview were measured and compared that of 30 non-patients. Horizontal overjet, vertical overbite, openbite, crossbite, depth of curve of Spee, midline deviation, facial asymmetry, attrition, and TPI were measured and processed statistically. The result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1. TMD group showed the highest prevalence in twenties, teens, and before 9 years old group in order, and more prevalent in female than male. 2.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ce between two groups of overjet and overbite measurements, but showed significance of 6 classification of anterior tooth relationship between two groups TMD groups. 3. TMD group had more anterior openbite than normal group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ce between two groups. 4. Anterior crossbite was more prevalent in normal group but posterior crossbite was more prevalent in TMD group. 5. TMD group showed deeper curve of Spee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ce between two groups. 6. TMD group had more attrition than normal group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ce beween two groups. 7. TMD group showed more facial asymmetry than normal group. 8. TPI did not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wo groups.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TMD group showed severe and complex mode of malocclusion and this should be carefully regarded when treatment planning and during the treatment of malocclusion.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미애(Mee-Ae Kim),정규림(Kyu-Rhim Chung). (1996).측두하악장애를 가진 교정환자 교합의 형태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26 (1), 53-63

MLA

김미애(Mee-Ae Kim),정규림(Kyu-Rhim Chung). "측두하악장애를 가진 교정환자 교합의 형태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26.1(1996): 53-6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